IT/Linux

리눅스 디렉터리 / 파일 관련 명령어

성준하이 2022. 5. 27. 12:06
반응형

리눅스든 윈도우든 다양한 os를 사용하게 되면서 폴더, 디렉터리의 개념은 많이 사용을 해봤을것이다.

이번 포스팅은 리눅스에서 디렉터리를 관리할때 주로 사용하는 명령어들을 다뤄보려고 한다.

 

디렉터리 관련
pwd

print working directory 의 약자이다.

현재 위치한 작업 디렉터리의 경로를 추출해준다.

 

cd

change directory 의 약자이다.

디렉터리를 이동하는 명령으로 현재 작업중인 디렉터리를 변경할때 사용한다.

상대경로를 사용해도 되고 절대경로를 사용해도 된다.

만약 이동할 디렉터리를 명시 안해주고 cd만 사용하면 사용자의 홈디렉터리로 이동을 한다.

상위 디렉터리로 가기 위해서는 .. 을 사용하고 이동을 취소하고 직전 디렉토리는 - 를 사용한다.

 

mkdir / rmdir

make / remove directory 의 약자이다.

말그대로 디렉터리의 생성과 삭제 명령어로 권한이 있는 디렉터리 내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파일 관련
ls

list의 약자로 현재 위치 디렉터리 내에 있는 파일과 디렉터리들을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cp

copy 의 약자로 파일을 복사하는 명령이고 권한이 존재할때 가능하다.

 

rm

파일을 삭제하는 명령이다. 옵션에 따라 디렉터리삭제도 가능하다.

 

mv

move 의 약자로 이동하거나 이름을 변경할때 사용한다.

 

touch

파일의 최종 접근시간, 수정시간등 타임스탬프를 변경하거나 파일의 크기가 0인 null 파일을 생성하는 명령이다.

 

find

특정 디렉터리 내에서 파일이나 폴더를 찾아서 경로를 추출해주는 명령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