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전 포스팅에서 @Valid annotation 을 사용하여 데이터 검증을 하는 법을 알아보았다.
(참고 포스팅 참고)
하지만 해당 방법은 RequestBody 일 경우 사용이 가능하고
RequestParam 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정리하려고 한다.
controller 에서 사용할 경우 아래 예제와 같이 사용하면 간단히 해결 가능하다.
..이상 생략 public ResponseEntity<ReturnDto > testMethod( @RequestParam @Pattern (regexp = "010[-]?\\d{3,4}[-]?\\d{4}$") String phoneNumber, @RequestParam @Email String email ) { ..이하 생략 |
Pattern을 적용해도 가능하고 기타 어노테이션 사용도 가능하다.
가독성에서는 떨어질수가 있어서 가능하면 RequestBody로 받는것이 효율적일듯 싶다.
참고 포스팅
https://thenicesj.tistory.com/305
@Valid annotation (BindingResult, Error)(유효성 검사)
지난번에 다뤘던 포스팅 중에서 not null관련 포스팅도 존재하고, jackson 관련 포스팅도 존재한다. 둘의 공통점은 dto 등에서 변수에 설정을 걸어주는것이다. 하지만 이 둘 말고도 또다른 annotation이
thenicesj.tistory.com
반응형
'IT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ckMvc Get, Post, Put, Delete 테스트 (24) | 2024.08.13 |
---|---|
JPA 에서 containing(Contains, IsContaining) (20) | 2024.08.12 |
DatasSource Exclude 설정 관련(DataSourceAutoConfiguration) (13) | 2024.08.10 |
Hash 충돌의 해결 (21) | 2024.08.06 |
try-with-resources (AutoCloseable) (20) | 2024.08.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