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을 해본 사람이라면 url 과 uri 라고 하여 구분을 해서 말한다.
소문자로 쓰이진 않고 대문자를 좀더 많이 사용하는데 URL, URI 라고 하여 대문자 I(아이)와 소문자 l(엘) 이 비슷하게 생겨서 더욱 헷갈리게 만든다.
지금 주소창을 한번 복사해서 확인을 해보자.
아마 https://thenicesj.tistory.com/289
이런식으로 작성이 되어있다.
맨 앞의 https 는 아래 참고 포스팅을 확인해보면 도움이 될것이다.
그리고 이어서 the nicesj.tistory.com 은 도메인이다.
도메인에 관련해서도 아래 참고 포스팅을 확인해보면 도움이 된다.
원래는 모든 컴퓨터에는 ip라는게 존재하는데 아 ip를 다양한 방식으로 할당 받는다.
그중 고정 웹사이트를 도메인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고정 ip 할당이 필요하고 이 고정 ip는 cmd에서 nslookup으로도 확인해볼수가 있다.
그리고 뒤에 나오는 내용이 여기서는 포스팅 번호인 숫자이지만
뉴스를 들어가든 어느 쇼핑몰을 들어가보면 ~~~.com/id=1&name=3
이런식으로 파라미터를 전송하게 된다.
이부분을 uri 라고 한다.
즉 url = http + domain + uri 부분을 합쳐서 일컫는 말이다.
참고 포스팅
https://thenicesj.tistory.com/289
HTTP / HTTPS 차이
인터넷을 할때 주소창에 도메인 주소를 적기 전에 http:// 혹은 https:// 를 붙여야한다. 몇몇의 브라우저에서는 client(사용자) 의 편리함을 위해 자동으로 http 를 가려주긴 하는데 주소를 복사하게
thenicesj.tistory.com
https://thenicesj.tistory.com/291
도메인(dns- Domain Name Server) / nslookup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 지금 tistory 사이트 처럼 어디든 사이트를 들어가려면 특정 도메인을 작성하고 들어가게 된다. 도메인이란 여러 뜻이 있지만 인터넷에서의 도메인은 해당 사이트의 주소
thenicesj.tistory.com
'IT > Knowled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goCD 란? (59) | 2022.08.11 |
---|---|
gitOps 란? (12) | 2022.08.09 |
도메인(dns- Domain Name Server) / nslookup (57) | 2022.08.07 |
HTTP / HTTPS 차이 (50) | 2022.08.06 |
백트래킹 (49) | 2022.08.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