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파이선에서는 페이지 로딩 코드에 delay를 주기 위해서 사용하는것이 두가지 이다.
sleep 과 driver.implicitly_wait() 이다.
물론 직접적인 차이는 webdriver 를 쓰냐 안쓰냐의 차이지만 예를들어 selenium을 할때 두가지의 차이가 확연히 보인다.
- time.sleep() : 프로세스 자체를 지정한 시간동안 기다려준다. (무조건 지연된다.)
- implicity_wait() : 브라우저에서 사용되는 엔진 자체에서 파싱되는 시간을 기다려준다.
좀더 설명을 하면
time.sleep()
- import time 필요
- 지정한 시간만큼 반드시 기다리고(쉬고) 다음 코드를 실행한다.
implicity_wait()
- 셀레늄(selenium)에서만 사용하는 특수한 메소드
- from selenium import webdriver 필요
- 지정한 시간 이전에 브라우저 파싱이 완료되면, 이후의 시간은 기다리지 않고 바로 다음 코드를 실행한다.
- 지정한 시간을 기다렸는데, 파싱이 끝나지 않으면 에러를 띄우고 바로 종료하게 된다.
참고로 자바에서의 타이머는 아래 참고 포스팅을 참고 하길 바란다.
참고 포스팅
https://thenicesj.tistory.com/296
delay 설정하기
코딩을 하다보면 일정 시간 잠깐 정지, delay를 해야할 경우가 있다. 파이썬에서는 간단하게 time.sleep(10) 이렇게 지정을 해주면 되지만 자바에서는 thread 단에서 잡아줘야한다. 코드는 다음과 같다.
thenicesj.tistory.com
반응형
'IT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st 안에서 최소 최대값 (42) | 2022.10.20 |
---|---|
파이썬에서 문자열 내에서 여러 문자열 찾기 (32) | 2022.10.19 |
특정 문자열에서 숫자만 추출하는 법 (53) | 2022.09.26 |
python library 설치방법(pip, tar, wheel) (44) | 2022.09.15 |
python 에서의 stack 사용 (65) | 2022.09.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