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포스팅에서 properties / yml 에 대해서 다룬적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고포스팅 참고 바란다.
기본적으로 spring 을 생성하면 하나의 파일이 존재하는데 환경에 따라서 다르게 참고포스팅처럼 설정할순 있지만
메인 yml은 관리자가 관리하며 다른 개발자들에게 열어주지 못하는데,
추가로 설정을 넣어야 할 경우 필요한 방법이다.
application.yml 과 동일한 위치에 자유롭게 이름을 선택하여 abc.yml 파일을 생성한다.
그리고 application.yml 메인에서 abc 를 import 만 해주면 된다.
spring: config: import: abc.yml |
properties도 동일하게 해주면 된다.
spring.config.import=abc.properties |
참고 포스팅
https://thenicesj.tistory.com/531
application.properties vs application.yml
본 포스팅의 주제는 제목과 같다. 먼저 둘의 차이를 보기 위해서 예제를 보면 다음과 같다. application.yml server: port: 8080 servlet: context-path: /test encoding: charset: UTF-8 enabled: true force: true spring: datasource:
thenicesj.tistory.com
https://thenicesj.tistory.com/650
springboot 에서 profiles 설정
실무에서 개발을 하다보면 규모에 따라 다를수 있지만, 본인 피시는 local 를 포함하여 dev 환경 prd 환경 등 다양하게 설정이 다를수 있다. springboot 를 사용하게 될 경우 yml 파일로 설정정보를 셋팅
thenicesj.tistory.com
'IT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AOP] JoinPoint / ProceedingJoinPoint 차이 (45) | 2023.12.02 |
---|---|
Boolean, boolean 차이 (37) | 2023.11.19 |
@Transactional 사용시 주의 사항4 (propagation(전파속성) 에 대해) (45) | 2023.11.14 |
@TransactionalEventListener 란? (37) | 2023.11.13 |
@EventListener 란? (ApplicationEventPublisher, publishEvent) (52) | 2023.1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