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arshalling의 단어 뜻은 정렬시키기, 순위 결정 이라는 뜻을 갖고 있다.
컴퓨터 에서 말하는 마샬링은
한 객체의 메모리에서 표현방식을 저장 또는 전송에 적합한 다른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과정
이라고 한다.
마샬링 (컴퓨터 과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컴퓨터 과학에서 마셜링(marshalling, l을 하나만 사용하여 marshaling이라고도 표기)이란 한 객체의 메모리에서 표현방식을 저장 또는 전송에 적합한 다른 데이터 형
ko.wikipedia.org
자바에서의 마샬링이란 자바 객체를 byte stream 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반대로 언마샬링이란 stream이나 파일로부터 자바객체를 만들어내는 과정을 말한다.
즉 자바 객체를 통신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것을 마샬링이라고 할수 있다.
참고포스팅을 보면 자바의 직렬화가 있는데,
직렬화와의 차이점은
마샬링은 직렬화보다 더 큰 개념으로 사용된다.
그래서 직렬화 가능하거나 리모트 가능한 모든 객체는 마샬링이 가능하다.
즉 정리하면 큰 차이는 직렬화는 객체가 대상이고
마샬링은 변환 그 자체의 목적으로 코드베이스를 기록하는데 차이가 있다.
코드베이스(codebase)는 특정 소프트웨어 시스템, 응용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빌드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스 코드의 모임이다.
참고 포스팅
https://thenicesj.tistory.com/298
자바 직렬화(Serializable)
자바에서 사용하는 직렬화의 의미는 자바 시스템 내부에서 사용되는 객체 또는 데이터를 외부의 자바 시스템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바이트(byte) 형태로 데이터 변환하는 기술 시스템적인 면
thenicesj.tistory.com
반응형
'IT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lumnDefalut Annotation (35) | 2023.12.27 |
---|---|
@Builder.Default [lombok] (31) | 2023.12.24 |
JSONObject 에 대해서 (24) | 2023.12.19 |
Java 에서 Redis 사용하기 (@RedisHash , ValueOperations) (34) | 2023.12.06 |
java.util.Date / java.sql.Date 차이 (38) | 2023.1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