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AProxy - The Reliable, High Perf. TCP/HTTP Load Balancer
2.5 2021-11-23 2023-Q1 (unmaintained) 2.5.14 2023/05/02 git / web / dir / announce / bugs 2.3 2020-11-05 2022-Q1 (unmaintained) 2.3.21 2022/07/27 git / web / dir / announce / bugs 2.1 2019-11-25 2021-Q1 (unmaintained) 2.1.12 2021/03/18 git / web / dir / an
www.haproxy.org
HA Proxy 란 하드웨어 단인 L4, L7 layer에서 해주는 로드밸런싱 역할을 소프트웨어 단으로 풀어서 만들어진
소프트웨어 로드밸런서 이다.
로드밸런싱에 대한 내용은 아래 참고 포스팅 참고 바란다.
순서도로 표시를 하면
Client / User --->>> Server
이렇게 바로 호출을 하는것이 아닌
Client / User --->>> HA Proxy --->>> Server
이렇게 중간에 Proxy 가 들어가게 된다.
그림으로 보면 아래와 같다.

그러면서 중간 다리 역할을 하며 서버의 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프록시 이다.

위 그림처럼 HAProxy 로 요청이 들어오면 여러개의 서버중 적절한 서버로 (라운드로빈 방식 등) 요청을 전달해준다.
추가적으로 위키 설명은 아래와 같다.
https://ko.wikipedia.org/wiki/HAProxy
HAProxy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AProxy는 여러 서버에 대해 요청을 확산시키는 TCP 및 HTTP 기반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해 고가용성 로드밸런서와 리버스 프록시를 제공하는 자유-오픈 소스 소프트
ko.wikipedia.org
참고 포스팅
https://thenicesj.tistory.com/202
로드밸런싱 (Load balancing) 종류 / 알고리즘 / L4장비
먼저 로드밸런싱이란? 트래픽을 분산시켜주는 컴퓨터 네트워크 기법 이고 좀더 정확한 설명은 둘, 셋 이상의 중앙처리 장치 혹은 저장장치와 같은 컴퓨터 자원들에게 작업을 나누는 것을 의미
thenicesj.tistory.com
https://thenicesj.tistory.com/189
대용량 트래픽에 대한 대처법
서버든 데이터베이스든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몰리면 트래픽이 집중이 되어 서버가 렉이 걸릴수도 있고 만약 메모리가 오버가 된다면 out of memory등의 에러를 내뱉으면서 서버가 뻗게 된다. 이
thenicesj.tistory.com
'IT > Knowled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K8S] namespace, pod 설명 (25) | 2024.03.02 |
---|---|
컨테이너 런타임 이란?(kubernetes 등장 배경) (15) | 2024.03.01 |
hprof 파일이란(OutOfMemory 발생) (23) | 2024.02.28 |
OCI 란? (19) | 2024.02.27 |
JCP / JSR 이란? (27) | 2024.0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