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etflix Oss 란 Netflix OpenSourceService의 약자로 2014년도에 Netflix에서 MSA 를 발표하면서 생겨나게 되었다.
먼저 해당 포스팅 전 MSA와 ServiceMesh에 대해서도 알면 도움이 될것이다.
참고 포스팅을 참고 바란다.
Netflix에서는 2007년 DB문제로 서비스 중단 사태를 겪었다.
그러면서 MSA로 전환을 하였고 현재는 Spring에 많은 OpenSourceService를 세우며 많이 사용이 되고 있다.
대표적인것들은 아래 그림에 있다.
용어 | Netflix OSS | Spring Cloud |
Discovery | eureka | eureka |
Circuit Breaker | Hystrix | Resilience4j |
inteligent routing | zull | API Gateway |
Client Side Load balancing | ribbon | ribbon |
하나하나에 대한 내용은 추후에 추가 하도록 할 예정이나 이렇게 Spring Cloud 와 대응하는 것들이 있다는것만 알아두면 도움될 것이다.
(보이지는 않지만 openfeign 도 netflixOss의 한 종류이다. 참고 포스팅 참고)
그리고 스프링 공식 홈페이지에서도 해당 내용에 대해서 일부 소개가 되어있다.
https://spring.io/projects/spring-cloud-netflix
넷플릭스 OSS 와 스프링의 클라우드는 다른것이 아니라 Netflix 의 OSS의 영향을 받은 Architecture 라 생각할 수 있다.
참고 포스팅
https://thenicesj.tistory.com/96
https://thenicesj.tistory.com/806
https://thenicesj.tistory.com/469
반응형
'IT > Knowled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K8S] Ingress 개념 (21) | 2024.03.17 |
---|---|
ISTIO 란? (18) | 2024.03.16 |
CGI(Common Gateway Interface) 란? (14) | 2024.03.13 |
DMZ (Demilitarized Zone) 에 대해서 (27) | 2024.03.12 |
DDOS (디도스) (14) | 2024.03.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