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2 를 spring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몇가지 설정이 있다.
해당 내용은 아래 참고 포스팅 참고 바란다.
추가적으로 H2를 사용하는데는 3가지 모드가 있고 해당 내용 역시 참고 포스팅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특히 inMemory 모드일때 더욱 필요한 초기 설정 sql을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 다룰것이다.
초기 설정 sql이란
말 그대로 in memory 로 실행할 경우 아무것도 없는 상태로 실행이 된다.
실행시 최소 테이블을 만들어두던가 값을 넣어두려면 초기 설정 sql을 실행해야한다.
우선 실행할 스크립트 .sql 파일을 만들고,
해당 sql 파일을 저장해둔 위치를 기억한다.
다음 properties 파일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을 해준다.
spring.sql.init.mode=always spring.sql.init.schema-locations=classpath:schema.sql spring.sql.init.data-locations=classpath:data.sql |
초기 실행은 always 이고
스키마 설정은 schema.sql을 사용 / 데이터 설정은 data.sql을 사용하게 된다.
프로젝트 내에 경로에 두어서 classpath로 설정을 했고,
pod로 올리거나 was로 실행하게 될 경우엔 다른 설정도 가능하다.
참고 포스팅
https://thenicesj.tistory.com/504
H2 Database 란? (in Spring)
H2는 자바로 작성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다. 장점 따로 설치가 필요없다 용량이 매우 가볍다 웹용 콘솔(쿼리툴) 제공하여 개발용 로컬DB로 사용 용이 특징 JAVA로 작성된 오픈소스 R
thenicesj.tistory.com
https://thenicesj.tistory.com/950
H2 DB 3가지 모드 사용(Embedded, In-Memory, Server)
이전 포스팅에서 H2 에 대한 포스팅도 다루고 SpringBoot에 적용하는것까지 다룬 포스팅이 있다.셋팅이나 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고 포스팅 참고 바란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H2를 3가지 모드로 사용
thenicesj.tistory.com
'IT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에서 SHA 256 암호화 사용하기 (12) | 2024.06.04 |
---|---|
Spring Batch (part 4. 프로젝트 적용 - Tasklet 방식) (21) | 2024.06.03 |
H2 DB 3가지 모드 사용(Embedded, In-Memory, Server) (15) | 2024.06.01 |
[SpringBoot] H2 Localhost에서 연결 거부(securityConfig/X-Frame-Options) (6) | 2024.05.31 |
Springdoc Swagger 정렬 관련 (15) | 2024.05.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