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날 떠오르는 기술 중 하나는 블록체인이다.
탈중앙화가 특징이면서 투명성을 제시할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그밖에도 다양한 기능과 장점이 존재하고, 블록체인들은 노드들끼리 동작을 하게 되는데,
블록체인 노드에 대해서 다뤄보려고 한다.
블록체인에서 노드란 블록체인 네트워트 참여자를 뜻한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참여자들이 사용하는 기계를 노드라고 하며, PC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태블릿, 스마트폰 모두 노드가 될 수 있다.
종류와 특징은 아래와 같다.
- 풀노드(full node)
블록체인에서 이루어진 모든 거래 정보를 보유한 노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최초로 생성되는 제네시스 블록부터 마지막 블록까지 모든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어 스스로 본인의 거래 검증을 할 수 있다는 장점. 다만 풀노드는 모든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기에 많은 저장 공간이 필요 - 라이트노드(light node)
블록체인의 데이터 일부(주로 블록헤더의 중요 데이터)만 보유한 노드
이에 따라 라이트노드는 거래는 가능하지만 스스로 검증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풀노드에 거래 데이터를 요청하여 개별 검증을 진행
데이터를 요청 후 확인하는데에 시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데이터 저장 공간이 많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 - 채굴노드(mining node)
채굴만을 위한 노드
채굴은 퍼즐을 푸는 작업증명방식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작업 증명 방식을 채택한 블록체인에서 사용되며 채굴노드는 컴퓨팅 파워 자원을 공유하여 채굴에 참여하거나 스트라텀 프로토콜 및 경량지갑과 연결하여 채굴에 참여하기도 함 - 슈퍼노드(super node)
위임지분증명(DPoS)방식에서 주로 사용되는 노드
위임지분증명 방식에서는 디지털 자산 보유량에 따라 투표권을 행사하고 주요 안건에 대한 의사결정을 대리할 수 있는 노드를 선출하고 이렇게 선출된 노드는 여러 노드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아 블록 생성이나 거래 확정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등 네트워크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같이 일반 노드들을 대리할 수 있는 선출된 노드를 슈퍼노드라고 하며, 대표노드라고 하기도 함 - 랜덤노드(random node)
이중위임지분증명 방식에서 사용되며 전체 블록체인 무결정을 유지하기 위하여 개발되었으며, 임의로 선택된 랜덤노드가 무작위 순서에 따라 블록을 생성하도록 설계됨 - 마스터노드(master node)
풀노드를 보완하기 위하여 고안된 노드
풀노드는 전체 블록체인의 검증, 생성 확인 등의 임무를 수행하지만 이에 따른 비용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채굴이라는 적극적인 행위를 하지 않으면 노드의 유지 비용을 충당하기 어렵다. 마스터노드는 풀노드의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설계한 것으로, 별도의 채굴행위를 하지 않아도 임무를 수행할 경우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대표적으로 대시코인, 해피코인 등의 프로젝트에 이용.
반응형
'IT > BlockCha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NFT 예제 part.3 (29) | 2022.02.17 |
---|---|
NFT 예제 part.2 (46) | 2022.02.16 |
NFT 예제 part.1 (37) | 2022.0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