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비동기식1 블로킹, 논블로킹 프로그래밍 예전 포스팅에서 동기식과 비동기식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글을 다뤄본적이 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참고 포스팅을 확인해볼수 있다. 비슷한 내용일순 있지만 조금 개념이 다른 블로킹과 논 블로킹에 대해서 다뤄볼 것이다. 블로킹, 논블로킹은 동기, 비동기와는 다르게 요청자, 제공자 둘다의 입장에서 생각해야 한다. 블로킹은 하나의 작업을 처리할때 호출된 작업이 끝날때까지 호출한 작업이 기다리면 블로킹이고 논블로킹은 이 반대이다. 블로킹, 논블로킹은 동기, 비동기와는 다르게 직접 제어할 수 없는 것을 대상으로 할때 구분 하는 방법 입니다. 즉 블로킹은 해당 작업을 할동안 접근이 안되는 경우이다. 그리하여 동기, 비동기와 함께 블로킹, 논블로킹의 정의는 아래처럼 내릴수가 있다. 동기(Sync) 방식은 요청과 응답이 .. 2022. 8. 1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