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택1 스택(Stack), 큐(Queue), 힙(Heap) 에 대해서 자료구조 알고리즘을 하다보면 스택, 힙, 큐에 대해서 많이 얘기를 들어봤을텐데 오늘 포스팅에서는 하나씩 설명을 해보려고 한다. 스택 선형 자료구조 Last In First out(LIFO) 구조 스택 특징 같은 구조의 같은 크기의 자료를 정해진 방향으로만 쌓을 수 있음 top으로 정한 곳을 통해서만 접근 가능(top이란 가장 쌓아둔 윗부분) 삭제는 top을 통해서만 가능 스택 연산 삭제 (pop()) : 스택에서 가장 위에 있는 항목을 제거 삽입 (push(item)) : item 하나를 스택의 가장 윗부분에 추가 읽기 (peek()) : 스택의 가장 위에 있는 항목을 반환 스택 포인터(SP) push나 pop을 할 때 해당 값의 위치를 알고 있어야 하는데 스택 포인터가 위치를 기억하고 처음 기본값은 -.. 2022. 8. 3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