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Jenkins4

Jenkins pipeline 구축 이전 포스팅에서 jenkins 설치 관련해서 다룬 글이 있다.설치는 아래 참고 포스팅을 참고 바란다. jenkins 를 사용할때는 결국 일련의 작업을 순차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 pipeline을 주로 사용한다. 사용법을 소개할 것이다. 우선 jenkins에서 하나의 아이템 생성이 필요하다. New Item -> pipeline 을 선택한다. 다음 샘플 코드를 작성한다.node {    stage('clone') {        git branch: ‘[브랜치명]’, credentialsId: ‘[credentials 아이디]’, url: ‘[github repository SSH url]’    }    stage('Change application.yml') {        sh '''         .. 2024. 8. 30.
Jenkins 설치(직접 서버에 설치) 이전 포스팅에서 Jenkins 설치를 docker 로 설치하는 법을 포스팅 했었다.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고 포스팅 참고 바란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직접 os 에 설치를 하는 방법을 적어보려고 한다.개인 취향의 차이 일수도 있고, 서버의 스펙에 따라 굳이 docker 를 안하고 직접 설치를 해도 괜찮으니 말이다. 우선 ubuntu 기준이고,ubuntu 로 뭘 설치하든 update를 한번 진행해준다.updatesudo apt update설치sudo apt install jenkins설치 되었는지 확인sudo systemctl status jenkins.service그밖에 stop, start, enable 등 명령어sudo systemctl stop jenkins.servicesudo systemctl st.. 2024. 8. 29.
Jenkins 설치(docker 를 활용) 이전 포스티에서 docker 와 jenkins 에 대해서 다룬 글이 있다.본 포스팅을 읽기 전에 해당 포스팅을 먼저 보면 도움이 될 것이다.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고 포스팅 참고 바란다. 설치 방법docker 로 jenkins 를 우선 받아와야한다.docker pull jenkins/jenkins:lts-jdk17해당 명령어는 https://hub.docker.com/r/jenkins/jenkins 에서 최신 버전을 받아오는 스크립트로 실행 시킨다. 다음은 docker run을 실행한다.docker run -p 8080:8080 -p 50000:50000 --restart=on-failure -d --name jenkins-server jenkins/jenkins:lts-jdk17이름은 jenkins-se.. 2024. 8. 26.
Jenkins(젠킨스)란? 젠킨스는 소프트웨어 개발시 지속적으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툴이다. MIT 라이선스를 따르며 해당 라이센스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조하자. https://thenicesj.tistory.com/36 오픈 라이센스 정리( GPL, LGPL, BSD, MIT, APACHE) 이전에 리눅스마스터 공부를 할때는 다 알고 있었는데 요즘엔 기억이 가물가물 해서 한번 글로 남긴다. 기억 나는건 일단 쉽게 말하면 저작권이다. 기존에는 대부분의 저작권이 유료였는데, 리 thenicesj.tistory.com 혼자 작업을 할 경우엔 모르겠지만 회사에서나 스터디 등 다수의 개발자들이 하나 프로그램을 동시에 개발할 때 버전 충돌을 방지 하기 위해서 각자 작업 내용을 svn이나 git 등에 빈번하게 업로드 함으로써 지속적으로.. 2022. 1.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