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ThreadPool2

ThreadPool Default 이전 포스팅에서 잠깐 ThreadPool에 대해서 적은 글이 있다.간단히 설명하면 Thread는 자바에서 실행의 주체인데 pool을 설정함으로써 Thread 를 제어할수 있는 그런 내용이다.관련 내용은 아래 참고 포스팅에서도 한번 더 다뤘으니 참고 바란다. ThreadPool은 자바에서 실행되는 주체인데 겹치게 되거나 할 경우 동시성 이슈로 직관되게 연결되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과연 이 pool은 몇개로 되어있을까 라는 의문이 들었다. 이 ThreadPool은 Springboot에서 tomcat이 제어를 하고 있으며 설명하기로는 아래와 같다. 그리고 만약 이를 조정하려면 아래와 같이 yml파일을 수정 해야한다. server:  tomcat:    threads:      max: 200(여기를 변경 .. 2024. 8. 15.
Spring 에서 async 처리 (@Async) 스프링에서 비동기 처리를 위한 async 처리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async 에 대한 내용은 아래 참고 포스팅을 참고 바란다. 자바에서는 기본적인 비동기 처리를 위해 runnable Interface를 구현하여 Thread 클래스를 생성하여 사용한다. new Thread(new Runnable() { @Override public void run() { // do something } }).start(); 스프링에서는 비동기 처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Async Annotation을 사용한다. 함수나 타입에 해당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비동기 처리를 진행할수 있다. 비동기 처리를 할 경우에는 유의사항이 몇가지 있다. 스레드 풀 관리 스레드 풀과 관련 설정은 프로퍼티에서 관리를 한다. 반환값 .. 2023. 2.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