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hown1 리눅스 운영관리 2 리눅스에서는 계정과 그룹으로 나누어서 운영 및 관리를 할수 있지만 그 외에도 특정 파일이나 폴더에 권한을 줘서 특수하게 관리를 할수가 있다. 이를 특수 권한 이라고 한다. 권한 체계는 3계층 (사용자, 그룹, 기타) 에 3가지 권한(읽기, 쓰기, 실행) 을 부여하는 형태에 이루어져있다. 하지만 딱 이 체계로는 원활하게 관리가 힘들다. 어떤 파일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root 권한이 필요한데 root 계정을 알려줄수도 없고, 다른 사용자의 폴더에서 작업을 할때도 해당 사용자 계정을 알려줄수 없는 등 다양한 상황이 생긴다. 이럴때 특수권한을 사용하게 된다. 특수권한의 종류와 간략 설명은 다음과 같다. Set-UID 보통 실행 파일에 사용되며 Set-UID가 부여된 파일을 실행시 해당 파일을 실행하는 동안에는 .. 2022. 5. 2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