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xecution2 aop pointcut 정리(추가 정리) 이전 포스팅에 이어 좀더 심화 정리를 추가하려고 한다. 1. 여러개의 execution 정의 -> 표현식을 사용한다. and 는 && , or 는 || 등을 사용하여 @Before("execution(* com..*.*(..)) && @annotation(org.apache.ibatis.annotations.Mapper)") 이와 같이 정의해준다. 2. 호출된 메서드에 대한 정보 -> System.out.println("location Name :" + jp.getTarget().getClass().getName()); System.out.println("method Name :" + jp.getSignature().getName()); System.out.println("uri Name :" + req.. 2023. 5. 15. aop pointcut 정리 저번 포스팅에서 aop 설정법에 대해서 다룬적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고 포스팅을 참고 바란다.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Aspect를 선언할 클래스를 만들어준다. @Aspect @Component public class AopTracker { .... 코드 구현 } @Component 역시 spring bean 주입을 위해 작성을 해줘야한다. 그리고 이어서 aspect 내에서 실행 할 메서드를 만들고 그 메서드에 아래와 같은 annotation을 달아준다. annotation 사용(호출) @Pointcut 어떤 메서드 일때 @Before 메서드 실행 전 @After 메서드 실행 후 @AfterReturning 메서드 정상 실행후 @AfterThrowing 메서드 실패 실행후 @Around .. 2023. 5. 1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