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ash2 Hash 충돌의 해결 아래 참고 포스팅에서 다양하게 자바에서 Hash 사용되는것들에 대해서 볼수 있다. 이 많은 해시들은 결국 Hash Function 에 의해서 가능한 서로 다른 키들에 대해 다른 해시 값을 생성하는데 만약 이때 해시값이 충돌하여 동일한 값을 가지게 되면 어떻게 될까? 정답은Hash Collision이다.해시 충돌은 서로 다른 데이터가 동일한 해시 값을 가지는 상황(key는 다른데, hash가 같을 때)이다.해시 테이블의 크기는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피할 수 없는 현상이다. 정리해서 다시 말하면 hash 충돌은 피할 수 없지만, 해시 함수의 결과 값이 골고루 분포되도록, 해시 충돌이 균등하게 발생하도록 해시 함수를 정하는 것이 좋다. 방법은 아래와 같다.seperate chaining (체이닝).. 2024. 8. 6. Join의 종류 데이터베이스에서 join이라고 하면 다들 inner join이나 left outerjoin 혹은 cross join 등은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조인은 조인의 종류로 나뉜것으고 이 종류들이 데이터베이스에서 수행하는 방법이 있다. 수행방법의 조인은 Nested Loop / Sort Merge / Hash 조인이 있다. NL (Nested Loop) Join nl 조인이라고도 많이 부르는 이 조인 수행기법은 다음과 같다. 그림에 있는 숫자가 수행하는 순서이다. 1. 선행테이블에서 첫번째 행을 접근. 2. 그 행의 조인할 속성을가지고 후행테이블 인덱스를 거쳐 접근 3. 1-2번의 작업을 반복하여 맵핑하며 결과를 버퍼에 저장하여 마지막에 출력함.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선행테이블은 풀스캔하므로,.. 2022. 7. 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