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artitioning2 파티션 테이블 적용, 조회 방법 이전 포스팅에서 테이블 파티션에 대해서 다룬 글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고 포스팅 참고 바란다. 파티션 생성부터 특정 파티션 조회에 대해서 다뤄볼 것이다. 파티션 생성 create table ptable1 ( col1 varchar2(8), col2 number ) tablespace users partition by range (col1) ( partition p202401 values less than ('202402'), partition p202402 values less than ('202403'), partition p202403 values less than ('202404'), partition p202404 values less than ('202405'), partition p2.. 2024. 2. 3. 파티셔닝 이란? 파티셔닝이란? 데이터 사이즈가 큰 테이블을 두 개 이상의 작은 테이블로 나누는 것을 파티셔닝이라고 한다. 보통 쿼리가 스캔할 데이터의 범위를 좁혀서 응답시간을 빠르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한다. http://wiki.hash.kr/index.php/%ED%8C%8C%ED%8B%B0%EC%85%94%EB%8B%9D 파티셔닝 - 해시넷 파티셔닝(partitioning)은 데이터베이스를 여러 부분으로 분할하는 것이다. 데이터베이스의 분할은 중요한 튜닝 기법으로 데이터가 너무 커졌을때, 조회하는 시간이 길어졌을 때 또는 관리 용이성, wiki.hash.kr 하나의 공간에 데이터를 모두 저장하기에 너무 크고 부담일 경우에 나눠서 저장하는데 수직 분할과 수평 분할이 있다. 수직분할 수직 분할은 간단히 정규화와 비.. 2024. 1. 2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