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udo3 wheel그룹/권한 예전 포스팅에서 sudo 에 대해서 다룬 글이 있다.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고 포스팅 참고 바란다. wheel그룹이란? @wheel:sudo 명령이 가능하도록 세팅된 그룹이다.sudo 권한 설정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etc/sudoers 파일에 세팅되어 있다. 사용자 권한이란root 권한, wheel 권한, 일반권한으로 나뉘는데 wheel 그룹은 그 속한 그룹 자용자들만 su root 를 할수 있도록,sudo 권한을 사용할수 있는 그룹이라고 이해하면 된다.참고 포스팅https://thenicesj.tistory.com/230 리눅스에서 관리자 권한(sudo)윈도우를 사용할 경우엔 어떤 파일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할 경우 마우스 우클릭 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하면 된다. 리눅스에서는 어떻게 해야할까? .. 2024. 7. 3. sudo / su / visudo 관련 이전 포스팅에서 sudo 관련해서 다룬 적이 있다.자세한 내용은 참고 포스팅 참고 바란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u와 sudo , 그리고 visudo 명령어까지 함께 다뤄볼 것이다. sudo superuser do 의 약자로 리눅스에서는 Superuser인 root계정과 일반 계정으로 나뉘어져 운영되고 있다. 일반 계정 사용시, root권한이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 이 경우 sudo 명령어를 통해 root권한을 빌려 쓸 수 있다.즉, sudo는 특정 사용자 또는 특정 그룹에 root 사용자 권한을 가질 수 있도록 일부 명령 또는 모든 명령을 실행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이다. 일반 사용자가 root권한을 사용위해서는 su 와 sudo를 사용할수 있는데 둘의 차이는 아래와 같다. su (switch us.. 2024. 6. 28. 리눅스에서 관리자 권한(sudo) 윈도우를 사용할 경우엔 어떤 파일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할 경우 마우스 우클릭 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하면 된다. 리눅스에서는 어떻게 해야할까? 이럴때 사용하는것이 sudo 권한이다. sudo 권한은 관리자 권한으로 계정마다 부여를 할수가 있고 계정에 부여하기 위해서는 visudo 명령어를 사용하여 /etc/sudoers 파일을 편집하여 이렇게 추가하면 된다. test ALL=ALL 누구에게 어디서, 어떤 명령을 사용할지 순서대로 작성하면 되고 위의 명령어는 test 계정이 어디서든 어떤 명령어든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것이다. 명령어 앞에 sudo를 붙여서 sudo useradd test 라고 하면 useradd는 관리자만 가능한 권한이라서 사용이 가능하다. 2022. 6. 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