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포스팅에서 git 에 대한 설명과 기본 명령어에 대해 알아봤었다.
자세한 내용은 참고 포스팅에 존재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git에 올리기 위한 기본적인 명령어 들을 알아볼 예정이다.
프로그램이 아닌 터미널에서 코드로 올리는 법을 다룰것이다.
- 순서
git init
먼저 프로젝트를 생성했다면 해당 폴더에서 터미널로 git init 을 하여 저장소 초기화 작업을 해줘야한다.
git status
git의 현재 상태를 보는 명령어이다.
꼭 순서가 중요한건 아니고 로딩하면서 종종 사용하며 현 상태가 괜찮은 상태인지 계속 확인해줘야한다.
git add .
다음으로는 해당 폴더에 있는 ( . 이 현재 위치를 말한다) 모든 파일을 add로 로컬 저장소에 올리는 바구니 리스트에 넣는다.
add 개념은 아래 참고 포스팅에 참고 바란다.
git commit -m "test Commit"
다음은 add 작업 이후에 local repository에 해당 파일들을 로딩한다.
-m 은 필수 옵션이며 "test commit" 이라는 메세지로 올린다.
git push
마지막으로 연결되어있는 원격 repository에 local repository 에 있는것들을 push 해주면 된다.
그밖에 다른 설정들이나 다루는 법에 대해서는 추후 포스팅 예정이다.(config, global 등)
참고 포스팅
https://thenicesj.tistory.com/98
git / github ?
어제 포스팅에 젠킨스라고 소개를 하나 했었다. 궁금하신분들은 참고해주세요! 읽고 오시면 도움이 됩니다. https://thenicesj.tistory.com/97 Jenkins(젠킨스)란? 젠킨스는 소프트웨어 개발시 지속적으로
thenicesj.tistory.com
https://thenicesj.tistory.com/506
[git] commit 과 push 의 차이점
git 의 repository 에서 받아오는걸 pull 로 당겨온다라고 하고 로컬에 있는 코드를 원격으로 올리는 작업을 push라고 한다. 여기서 push를 하기 위해서는 add와 commit의 작업이 필요한데 이작업들의 차이
thenicesj.tistory.com
https://thenicesj.tistory.com/510
git rebase와 merge 차이
Git에서 한 브랜치에서 다른 브랜치로 합치는 방법은 Merge와 Rebase가 있다. 둘을 실행해보게 되면 Merge와 Rebase의 실행결과는 같지만 커밋 히스토리가 달라진다. Merge는 쉽고 안전하지만 커밋히스토
thenicesj.tistory.com
'IT > GIT.SVN'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강제 push / 강제 pull (50) | 2023.07.05 |
---|---|
Git Flow 란? (47) | 2023.06.27 |
git rebase와 merge 차이 (37) | 2023.03.11 |
[git] commit 과 push 의 차이점 (32) | 2023.03.07 |
Git Bash ? (41) | 2022.1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