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가 많이 떠오르는 추세인 요즘 서버리스라는 단어가 많이 나온다.
대표적으로는 aws 에서 제공하는 lambda 를 예로 들수 있다.
서버리스의 뜻을 직역하면 '서버가 없다' 라는 의미이다.
그럼 서비스를 누가 실행하는가?
여기서의 의미는 없다라는 의미보다는
서버리스는 서버가 없는 백엔드 라는 뜻이 아닌 우리가 직접 서버를 관리하지 않아 신경 쓸 필요없는 경우
서버의 변천사를 좀 살펴보면
예전부터 기업에서는 서버 관리를 온프레미스 방식(참고 포스팅 참고) 으로 사용을 하였다.
그러다가 좀더 발전을 하여 클라우드 형식의 (Iaas / Paas) (참고 포스팅 참고) 로 변해왔고,
오늘날 서버리스가 많이 사용이 된다.
서버리스의 원리
서버리스 원리는 다음과 같다.
- 개발자가 서버리스에 업로드한 함수는 항상 떠있지 않고 휴먼 상태로 존재.
- 요청이 들어오면 서버리스는 함수를 실행시켜 요청한 작업을 수행한다.
- 수행이 마치면 다시 휴먼 상태로 전환
대표적으로 Faas 를 사용하며 해당 내용은 아래 참고 포스팅 참고 바란다.
참고 포스팅
https://thenicesj.tistory.com/92
온프레미스 / 오프프레미스란?
최근 클라우드 주제로 글을 몇번 다뤄오면서 다루면 좋을것 같다고생각이 되어 오늘은 온프레미스라는 주제로 글을 다뤄보려고 한다. 요즘 시대에는 큰 기업들은 사내에 서버가 존재하지만 스
thenicesj.tistory.com
https://thenicesj.tistory.com/85
Saas / Paas / Iaas 의 의미 및 설명
서버를 다뤄보신 분들이나 클라우드에 접속해서 서버를 구축해본 경험이 있다면 이 단어들을 보았을것이다. 나도 로컬 서버를 많이 다루다 보니 자주 사용하진 않았지만 aws/ azure등에서 클라우
thenicesj.tistory.com
https://thenicesj.tistory.com/970
Baas / Faas 란?
이전 포스팅에서 Saas / Paas / Iaas 에 대해 다룬 적이 있다.이름은 비슷하고 약자 역시 같은 Baas 와 Faas 에 대해서 작성해볼 것이다.BaaS (Backend as a Service) 개발자들이 개발한다고 하는 백엔드 개발
thenicesj.tistory.com
'IT > Knowled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GI, WSGI, ASGI 에 대해서 (13) | 2024.07.02 |
---|---|
SonarQube 란? (21) | 2024.06.23 |
Baas / Faas 란? (11) | 2024.06.21 |
웹 통신의 흐름 (19) | 2024.06.14 |
XHTML 이란? (13) | 2024.06.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