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100

python 크롤링 part.1 이번 포스팅에서는 python 언어를 활용하여 특정 페이지의 내용들을 모아오는 크롤링이라는것을 해볼것이다. 잘 활용을 하게 된다면 자신이 필요한 정보만 잘 획득해오도록 코딩을 짤수가 있을것이다. 환경 python3.7버전 vscode chrome 브라우저 selenium vscode설치 관련은 아래 참고 포스팅을 확인하도록 하자. 먼저 vscode에서 작업을 할 경로를 선택해서 폴더를 열고 아무 이름이나 해서 test.py 이런식으로 파이선파일을 하나 생성한다. 파이선이 처음이라면 자동으로 vscode에서 python관련 파일들을 설치하라고 나오는데 그냥 install 을 눌러주면 된다. 그리고 크롬브라우저를 코드상에서 열기 위해서 chromedriver를 자신의 os 버전에 맞게 설치를 하고 좀전에 만.. 2022. 2. 18.
NFT 예제 part.3 저번 포스팅에서 컬렉션까지만들었고 이제 컬렉션 안에 하나하나 아이템을 추가해보도록 할것이다. 오른쪽 맨위 Add item 파란 버튼을 눌러서 추가하자. 그럼 여기에 nft 들을 하나씩 추가를 하여 민팅을 할수 있게 된다. 그럼 여기에 또 올려보도록 할것이다. 여기서는 그림 하나만 올릴것이라서 이미지와 이름만 설정을 해주고 collection은 전 포스팅에서 만든 것을 선택하고 supply는 발행할 갯수라서 1로 선택을 하였고 블록체인은 역시 폴리곤으로 생성하여 create를 하였다. 그럼 아래 그림과 같이 완료가 된다. 민팅을 위해서 팔려고 하면 오른쪽 위에 sell버튼을 누른다. 들어가서 가격은 price는 단위는 ethereum이므로 1 ethereum에 현재기준 대략 300만원인데 그냥 올려보도록 .. 2022. 2. 17.
NFT 예제 part.2 저번 포스팅에서는 어떻게 방향을 나아갈지를 명시해놨고 이번 포스팅은 실습하는 과정을 하나하나 캡쳐를 하며 따오면서 진행을 할것이다. OpenSea 입장 https://opensea.io/ 지갑 생성 사용할 지갑 MetaMask선택 사용하기 위해 chrome 확장도구 설치 확장프로그램 MetaMask들어가서 지갑생성하기 이어서 비밀번호 설정하고 다음으로 넘어간다. 넘어가다 보면 백업 문구가 가려져서 나오는데 이문구는 절대 누구와도 공유를 하면 안되고 다른곳에 잘 적어두던가 한다. 그리고 이어서 구문확인은 방금 나온 그 문구를 잘 순서대로 맞게 작성을 한다. 그렇게 까지 하면 생성이 완료가 된다. 로그인을 하기 위해 다시 OpenSea사이트로 들어가서 계정을 로그인한다. 오른쪽 상단에 profile모양을 클.. 2022. 2. 16.
NFT 예제 part.1 이번 포스팅부터는 NFT에 대해서 생성을 하고 마켓에 올리는 것 까지를 진행해볼 것이다. NFT가 뭔지 아직 생소하신 분들은 아래 참고 포스팅을 확인해서 개념을 알고 오는것이 도움이 될것이다. 일단 nft를 하기 위해서는 크게 2가지가 필요하다. nft를 통해서 올릴 그림 생성 마켓에 올리는 방법( 이것을 민팅이라고 하는데 이하 민팅이라고 칭하겠습니다.) 먼저 nft를 통해서 올릴 그림은 나는 블로그의 상진인 이 그림을 올려볼것이다. (제가 만들었고, ppt를 통해서 작업한 그냥 그림입니다 .. :) , 그림판이나 오픈소스 등을 통해서 특정 캐릭터를 만들거나 하셔서 올리셔도 됩니다.) https://opensea.io/ 먼저 마켓을 들어가볼 것인데 다양한 마켓이 있지만 OpenSea 라는 곳에서 민팅을 .. 2022. 2. 15.
NFT란? 이번 포스팅에서는 요즘 it 에서 많이 떠오르고 있는 NFT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할것이다 FT란? Fungible Token NFT란? Non Fungible Token 의 약자이다. 예를 들어 우리가 알고 있는 비트코인 같은 경우는 대체 가능한 토큰이다. 좀더 쉽게 말하면 우리가 알고 있는 화폐도 마찬가지 이다. 지금 주머니에 있는 100원짜리 동전이나 저기 저금통에 있는 100원짜리 동전은 서로 똑같은 가치를 지니고 있고 둘은 서로 대체가 된다 한들 아무 상관이 없다. 하지만 NFT는 대체 불가능한것이다. 쉽게 말하면 하나하나 저작권이 걸려있고 그 저작권은 블록체인 상에 저장이 되어 누구나 공유를 하면서 볼수 있다는 것이다. 블록체인은 수많은 피시,서버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형성이 되어있고 그 네트워크.. 2022. 2. 14.
REST API / RESTful API 차이점?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해서 해당 자원의 상태를 주고 받는 것을 의미한다. 즉, resource(자원) 의 represeㅜtation(표현) 에 의한 상태 전달이다. HTTP 프로토콜을 그대로 사용하여 웹의 장점을 활용할수 있는 아키텍쳐 스타일이며 client와 server사이의 통신 방식중 하나이다. 자원의CRUD(Create,Read,Update,Delete) 연산을 하기 위해 URI로 get,post,put,delete등의 메서드를 사용해서 요청을 보내고 특정 형태로 값을 돌려 받는다. REST의 구성요소는 URI와 메서드와 반환되는 형태 로 나뉜다. URI 모든 자원에는 고유 id가 존재하고 이 자원은 server내에도 존재한다. H.. 2022. 2. 13.
dll파일에 대해서 컴퓨터를 하면서 dll파일을 보거나 다뤄본적이 있는분들은 분명 있을것이다. 간단하게 이 파일이 어떤 파일인지 먼저 소개를 하며 시작하도록 하겠다. dll파일이란? Dynamic Link Library의 약자로 한글로 해석하면 동적 링크 라이브러리 이다. dll파일은 다른 프로그램에서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호출할수 있는 지침이 들어있는 파일이다. 라이브러리는 아래 참고 사이트를 참고해보도록 한다. 윈도우에서 파일을 확대해서 보면 아래 그림과 같이 톱니바퀴 설정 모양이 있는것을 보고 짐작 할수 있듯이 작업을 설정하고 제어하는? 그런 작업들을 한다. dll파일은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프래그래밍의 기본요소이다. 이 파일을 통해서 프로그램은 기본 제공되지 않는 추가기능과 라이브러리에 액세스를 할수 있다. 그리.. 2022. 2. 12.
JPA N+1 이란? ORM과 JPA에 대한 개념은 아래 참고 포스팅에 추가가 되어있으니 확인 바란다. 이 개념은 JPA를 사용하면서 콘솔 창에 보면 나오는 쿼리를 통해서 확인할수 있다. 예를들어 책과 도서관이라는 각각의 Entity 가 있다. 책에는 id과 name 과 library라는 변수들이 있고 library에는 @ManyToOne 이 걸려있다. 이럴경우 책 정보를 뽑을때 bookRepository.findBy1Id(id) 를 하면 결과를 가져올때 참조되는 library정보를 가져오게 된다. 먼저 sql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걸 fetch라고 하는데 fetch에는 2가지 타입이 있다. 데이터가져오는것을 포함해서 데이터베이스의 실행단계가 궁금하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도록 한다. eager 와 lazy이다. eager는 참.. 2022. 2. 11.
웹 3.0 이란? 시대가 변화는 속도는 빨라졌고 지금보다도, 지금! 또 세상은 변하고 있다. 이러면서 웹3.0 이라는 단어가 나오게되었다. 웹 3.0을 소개 하기 앞서 그전 버전에 대해서 소개를 간단히 하고 넘어가보도록 할것이다. 웹 1.0 인터넷 이용자는 단순 소비를 하기만 하는 단계이다. 쉽게 설명하자면 콘텐츠 제공자는 정보를 제공하고 이용자는 이것들 받아들이기만 한다. 예로는 인터넷에 뉴스나 신문 등 처럼 정보 제공만을 받았던것을 생각하면 된다. 웹 2.0 사용자들은 데이터를 사람들과 주고 받고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쉽게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처럼 플랫폼이 구축이 되어 소통을 하게 된다. 또한 유투브 같은곳에서는 영상 제작자가 영상을 올리면 사용자는 시청을 하면서 제작자는 수익이 생긴다. 이런 구조가 만들어졌지만 단점.. 2022. 2.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