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예외처리1 try - catch - finally 예외처리란? 프로그래밍에서 예외처리란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다. 서버가 잘 돌다가 죽을수도 있고 무한 대기, 홀딩 현상이 걸릴수도 있다. 일상생활에서의 예외처리를 잠깐 예를 들면. 외출을 해야하는 경우인데 친구들끼리 오늘은 각자 준비해서 검정색 신발을 신고 만나자! 라고 얘기가 되었다. 근데 다들 모였는데 한 친구만 안나오길래 그 집에 가보니 친구가 신발장 앞에서 검은 신발이 없어서 가만히 기다리고만 있었다. 이게 바로 예외처리가 안되어서 특정 부분에서 락이 걸리거나 홀딩 이 걸린 현상이다. 또 다른 예로는 시험지에 이름을 쓰고 학번을 써야하는데 누군가 실수로 이름란에 학번을 쓰고 학번 란에 이름을쓰게 되었습니다. 이걸 사람은 보고 알아서 이해할수 있지만 컴퓨터는 분명이 이름에는 스트링 형식, 학번에는 인티져 형식이 .. 2022. 3. 1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