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직렬화2 marshalling / unmarshalling (직렬화와의 차이 feat. 코드베이스) marshalling의 단어 뜻은 정렬시키기, 순위 결정 이라는 뜻을 갖고 있다. 컴퓨터 에서 말하는 마샬링은 한 객체의 메모리에서 표현방식을 저장 또는 전송에 적합한 다른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과정 이라고 한다. https://ko.wikipedia.org/wiki/%EB%A7%88%EC%83%AC%EB%A7%81_(%EC%BB%B4%ED%93%A8%ED%84%B0_%EA%B3%BC%ED%95%99) 마샬링 (컴퓨터 과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컴퓨터 과학에서 마셜링(marshalling, l을 하나만 사용하여 marshaling이라고도 표기)이란 한 객체의 메모리에서 표현방식을 저장 또는 전송에 적합한 다른 데이터 형 ko.wikipedia.org .. 2023. 12. 20. 자바 직렬화(Serializable) 자바에서 사용하는 직렬화의 의미는 자바 시스템 내부에서 사용되는 객체 또는 데이터를 외부의 자바 시스템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바이트(byte) 형태로 데이터 변환하는 기술 시스템적인 면에서는 JVM 메모리에 상주(스택/힙)되어 있는 객체 데이터를 바이트 형태로 변환하는 기술 직렬화된 바이트 형태의 데이터를 객체로 변환해서 JVM으로 상주시키는 형태(역직렬화) 를 말한다. 사용하는 법은 다음과 같다. @Data @ToString @Builder @AllArgsConstructor @NoArgsConstructor public class Dto implements Serializable{ private String id; private String name; } 이렇게 implements Serializa.. 2022. 8. 1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