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faas2

서버리스(ServerLess) 란? 클라우드가 많이 떠오르는 추세인 요즘 서버리스라는 단어가 많이 나온다.대표적으로는 aws 에서 제공하는 lambda 를 예로 들수 있다. 서버리스의 뜻을 직역하면 '서버가 없다' 라는 의미이다.그럼 서비스를 누가 실행하는가? 여기서의 의미는 없다라는 의미보다는서버리스는 서버가 없는 백엔드 라는 뜻이 아닌 우리가 직접 서버를 관리하지 않아 신경 쓸 필요없는 경우 서버의 변천사를 좀 살펴보면예전부터 기업에서는 서버 관리를 온프레미스 방식(참고 포스팅 참고) 으로 사용을 하였다. 그러다가 좀더 발전을 하여 클라우드 형식의 (Iaas / Paas) (참고 포스팅 참고) 로 변해왔고,오늘날 서버리스가 많이 사용이 된다. 서버리스의 원리서버리스 원리는 다음과 같다.개발자가 서버리스에 업로드한 함수는 항상 떠있지 않.. 2024. 6. 22.
Baas / Faas 란? 이전 포스팅에서 Saas / Paas / Iaas 에 대해 다룬 적이 있다.이름은 비슷하고 약자 역시 같은 Baas 와 Faas 에 대해서 작성해볼 것이다.BaaS (Backend as a Service) 개발자들이 개발한다고 하는 백엔드 개발이 주로 존재한다.언어부터, 버전 정보, 환경 설정 등 간단한 작업일수도 있지만 꽤나 귀찮고 반복되는 작업들이 매번 발생한다.추가적으로 백엔드 개발 환경 셋팅에서 끝이 아니라  scale-up/out 에 대해서도 있고 각종 보안도 고려를 해야한다. 이렇기에 탄생한것이 Baas 이다. 다른 As a Service 처럼 환경이 구축 되어있고,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할수 있다.오늘날 서버리스 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식이다.장점으로는 개발시간 단축, 서버 확장 작업 불필요 .. 2024. 6.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