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다른 포스팅에서도 온프레미스라던지 Saas라든지 서버와 클라우드에 대해서 다룬 글들은 몇개 있었다.
참고는 아래 참고포스팅을 확인할수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서버와 클라우드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볼까 한다.
물리적 서버 | 클라우드 서버 | |
이용방식 | 호스팅 업체의 물리서버를 단독으로 임대 혹은 구매하여 사용 서버운영에 필요한 인프라와 기술력까지 제공을 받는다. |
호스팅 업체의 가상 서버를 단독으로 사용 단 몇 분만에 서버 생성 후 바로 사용한다. |
주 사용자 | ERP,회사 인트라넷, 대형 쇼핑몰 등 고정적으로 대용량 트래픽과 DB가 많이 소요되고 보안이 중요한 곳에 사용. | 데이터의 크기가 빈번히 바뀌거나 각 사용자에게 할당을 해줘야 하는 서버가 있을 경우 사용. |
장점 | 서버 관리에 대한 직접 권한을 갖고 서버의 모든 자원 활용 가능하고, 보안상으로 유리하다 | 사용자가 필요할 때 자유롭게 서버 확장/축소 가능하며 서버의 스펙 또한 조절이 가능하다. 사용한 만큼만 과금하는 후불제로 경제적이다. |
단점 | 데이터의 크기에 비해 서버가 큰 경우 불필요하게 금액이 소모되거나 데이터가 들어가기 위한 용량이 부족할 경우엔 물리적으로 하드를 사거나 서버를 직접 구입을 해야 하므로 오랜 시간이 걸린다. | 하나의 프로그램에 이상이 생기면 연결된 다른 프로그램도 영향을 받을 수가 있다.(이중화 및 백업으로 커버가능) |
참고 포스팅
https://thenicesj.tistory.com/92
온프레미스 / 오프프레미스란?
최근 클라우드 주제로 글을 몇번 다뤄오면서 다루면 좋을것 같다고생각이 되어 오늘은 온프레미스라는 주제로 글을 다뤄보려고 한다. 요즘 시대에는 큰 기업들은 사내에 서버가 존재하지만 스
thenicesj.tistory.com
https://thenicesj.tistory.com/85
Saas / Paas / Iaas 의 의미 및 설명
서버를 다뤄보신 분들이나 클라우드에 접속해서 서버를 구축해본 경험이 있다면 이 단어들을 보았을것이다. 나도 로컬 서버를 많이 다루다 보니 자주 사용하진 않았지만 aws/ azure등에서 클라우
thenicesj.tistory.com
반응형
'IT > Knowled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y - catch - finally 예외처리란? (48) | 2022.03.16 |
---|---|
가비지 컬렉터란? (58) | 2022.03.15 |
객체지향 디자인 패턴 심화 정리 part.3 (47) | 2022.03.13 |
객체지향 디자인 패턴 심화 정리 part.2 (42) | 2022.03.12 |
객체지향 디자인 패턴 심화 정리 part.1 (34) | 2022.03.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