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Knowledge

IP주소에 대해서

by 성준하이 2022. 3. 27.
반응형

IP란 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 상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주소를 말하는 것이다.
컴퓨터의 주소가 아닌 네트워크의 주소라고 생각을 하면 쉽다.

그럼 그말은 네트워크가 연결된 모든것은 전부 ip주소가 존재한다는 말인데 그렇다.
지금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 노트북 뿐 아니라 서버, 핸드폰, 아이패드, 그리고 만약 lte스마트 워치를 사용한다면 그것 역시도 하나의 주소가 된다.
홈네트워크라고 하면 가정에 있는 모든 장비들이 공유기를 통해서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여있는것인데,
내부적으로는 각각 하나의 아이피를 갖지만 결국 밖에서 봤을땐 그 집으로 들어가는 하나의 IP인것이다.
그집으로 들어가는 하나의 IP 역시 아파트기준으로는 아파트로 보면 각각 하나씩이지만 외부로 봤을땐 크게 하나의 IP인것이다.
내부에서 하나하나 내부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선 게이트웨이 역할을 해줄 스위치 등이 필요하다.
네트워크 대역에 따라 A, B, C 클래스로 나뉘어지고 이에따라 subnetmask도 변경이 되는데 이부분은 심화과정이라서 다루지 않고 개념만 알고 가도록 할것이다.

IP의 구조

ip는 123.123.123.123 처럼 3자리씩 총 4개의 자리로 이루어 진다.
아마 공유기를 사용하는 피시라면 192.으로 시작을 할것이다.
클래스의 대역대에 따라 내부 네트워크는 정해져있기때문이다.
근데 여기서 일반적으로 10.이나 172.이나 192. 으로 시작하는것이 아닌 뜬금없는 ip들도 있는데 공인IP일 확률이 높다.

공인IP

어디서든지 접근할수 있는 IP를 공인 IP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공인 IP를 갖기 위해선 별도의 추가 요금을 지불해야한다.

현재 내 장비의 아이피가 궁금하다면 CMD에서 ipconfig를 쳐보면 나올것이고 내가 사용중인 공인IP가 궁금하다면 네이버에 내 아이피 조회를 검색해보면 나올것이다.
일반적으로 두개는 다를테고 이 두개가 같다면 내 아이피는 공인아이피 인데 네트워크를 아는 사람들이 공인 아이피를 사용하게 되니 일반적으로는 몰라도 된다.

Localhost

그리고 개발을 하다보면 자기 자신의 주소를 불러와야하는 경우가 생기는데 예를들어 개발서버와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다른경우라면 해당 경로와 포트를 사용해주면 되지만 내 피시에서만 작업을 할때는 127.0.0.1 이 자기 자신의 주소이고 domainName처럼 사용을 하자면 localhost라고 명시를 해주면 된다.

이 밖에도 IP에 대한 개념은 IPV4, IPV6, DHCP 등 많은 개념이 있는데 심화된 개념이라서 나중에 네트워크에 대해서 다루게 된다면 설명을 하도록 할것이다.

반응형

'IT > Knowled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랜섬웨어에 대해서.  (54) 2022.03.30
DNS란?  (49) 2022.03.29
인코딩이란?(ascii, unicode, utf-8)  (36) 2022.03.26
재귀 함수란? (recursive function)  (36) 2022.03.25
동기 / 비동기 프로그래밍  (43) 2022.03.2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