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T/Knowledge272

CNN , RNN 에 대해서 딥러닝에 대해서 입문을 하려는 분들은 많이 들어봤을 것이고, 기본이 되는 학습 기법에 대해 CNN 과 RNN 에 대해서 소개하려고 한다. CNN (Convolution Neural Network : 합성곱신경망)먼저 그림에서 보면 알수 있듯이데이터(이미지 혹은 동영상) 의 특징을 추출하여 특정 패턴을 파악하는 구조이다.추출에 대해서는 Convolution(데이터의 특징을 추출) 과정과 Pooling(Convolution Layer 의 사이즈를 줄임) 과정으로 진행을 한다.사용되는 경우는 아래와 같다.- Object Recognition : 사물을 알아맞추는 것 (ex. 자동차를 바운딩박스 처리)- Object Identification : 사물의 특성을 알아맞추는 것- Face Identification.. 2023. 7. 20.
[Error] Cannot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at unix:///var/run/docker.sock. Is the docker daemon running? docker 명령어 실행시 아래와 같은 명령어가 떴다. Cannot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at unix:///var/run/docker.sock. Is the docker daemon running? 이유는 docker service 실행이 안되었을 경우이다. cli 기반이라면 sudo systemctl status docker 를 하여 상태 확인 후 아래 명령어로 실행을 해준다. $ sudo systemctl start docker $ sudo systemctl enable docker 그리고 gui 기반이라면 docker 관련 프로그램을 시작하면 된다. 그럼 정상적으로 실행이 된다. 2023. 7. 18.
Colab 이란? Google 에서 제공하는 Colab은 Google 에서 제공하는 jupyter notebook 이다. local의 jupyter notebook 에 관해서는 아래 참고 포스팅을 참고 바란다. jupyter notebook은 물론 서버에 설치도 가능하지만 local에서 돌리면 한정된 피시의 자원으로 돌리기에 사양이 높진 않을것이다. 소개하는 Colab은 구글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좋은 성능과 접근성을 제공한다. 그리고 jupyter notebook 을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설치과정들이 필요한데 colab은 그 단계 역시 줄일수 있기에 요즘 많이 사용이 된다. Colab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구글 계정과 접근 가능한 인터넷만 있으면 된다. 그럼 시작은 아래 사이트에 접속을 하여 시작할수 있다. ht.. 2023. 7. 16.
ping / telnet / traceroute / curl 차이점 특정 서버와 방화벽 작업등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나 확인시 네트워크 연결 체크할수 있는 명령어 ping, telnet, traceroute, curl ping : 목적지 서버를 통하는 네트워크 상태를 체크 -> ping은 도메인이나 IP 주소로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패킷을 보내고 다시 돌려받는 명령어이다. 특정 IP로부터 응답을 받을 수 있는지, 응답에 얼마나 걸리는지 확인할 수 있다. telnet : 목적지 서버의 해당 어플리케이션까지 살아 있는 지 확인 -> telnet의 기본 개념은 원격 로그인 서비스이다. 그러나 현재는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통신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용도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traceroute :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라우터를 모.. 2023. 7. 4.
Manifest 파일 매니패스트 파일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먼저 위키백과에서의 정의는 아래와 같다. 매니페스트 파일(manifest file)은 컴퓨팅에서 집합의 일부 또는 논리정연한 단위인 파일들의 그룹을 위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이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의 파일들은 이름, 버전 번호, 라이선스, 프로그램의 구성 파일들을 가질 수 있다. 이 용어는 화물 목록(ship manifest)이 선원 및 화물을 나열하는 화물 수송 절차로부터 가져온 것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EB%A7%A4%EB%8B%88%ED%8E%98%EC%8A%A4%ED%8A%B8_%ED%8C%8C%EC%9D%BC 매니페스트 파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매니페.. 2023. 7. 2.
MTU란? (MSS와 함께) Maximum Transmission Unit 최대 전송 단위 TCP/IP 네트웍 등과 같이 패킷 또는 프레임 기반의 네트웍에서 전송될 수 있는 최대크기의 패킷 또는 프레임을 가리키며, 대개 옥텟을 단위로 사용 데이터링크에서 하나의 프레임 또는 패킷에 담아 운반 가능한 최대 크기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최대 전송량(Byte)인 MTU 값은 매체에 따라 달라진다. 값을 계산할 경우엔 MTU가 1500이라고 할 때 IP Header의 크기 20byte 와 TCP Header의 크기 20byte를 제외하면 실제 사용자 data는 최대1460까지 하나의 패킷으로 전송될 수 있다. Window 계열에서는 PC의 기본 MTU가 1500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레지스터리에 특정 값을 적어주지 않으면 자신의 MTU값을 .. 2023. 7. 1.
mac 에서 telnet 사용법 맥에서 telnet 을 사용하려고 하는데 기본 명령어로 잡혀있지가 않아있었다. telnet 에 대한 내용은 참고 포스팅을 참고 바란다. 일단 먼저 터미널에서 telnet 을 사용하면 없는 명령어라서 brew를 통해서 설치를 해야한다. brew 관련 역시 참고 포스팅 참고 바란다. telnet 설치 brew install telnet 명령어 실행 참고 포스팅 https://thenicesj.tistory.com/213 리눅스 네트워크 명령어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 내에서 네트워크를 다룰때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를 정리해볼 것이다. ifconfig ifconfig는 interface config 의 약자로 비슷하게 윈도우에서는 ipconfig 라는 명령어를 사용하기 thenicesj.tistory.com h.. 2023. 6. 19.
maven 강제 업데이트 maven 에 대해서는 아래 참고 포스팅을 참고 바란다. IDE를 사용할 경우엔 update maven이라는 버튼이 존재하였고, 해당버튼을 누르게 되면 settings.xml 을 참고하여 repository에서 pom.xml에 적혀있는 라이브러리 들을 가져오게 된다. 그리고 나서 ide에서 build를 진행하겠지만 터미널이나 ide를 통하지 않는 곳에서 빌드를 진행 전에 maven update 를 하려고 한다면 아래명령어를 사용하여 가능하다. mvn clean install -U 참고 포스팅 https://thenicesj.tistory.com/197 빌드 관리도구 Maven / Gradle Spring 을 사용하게 되면 프로젝트 생성시 빌드 도구를 maven이나 gradle 중에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2023. 6. 17.
Snapshot 개념 (Database / lib version) IT에서 snapshot 에 대해서 다루게 되면 이 두가지로 나뉜다. 사용처 Database library version 의미 특정 시간에 데이터 저장 장치의 상태를별도의 파일이나 이미지로 저장하는 기술로, 스냅샷 기능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면 유실된 데이터 복원과 일정 시점의 상태로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 메이븐이나 그래들에서 버전을 다운받을 때 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 받을 때 사용되는 버전의 종류 이고 일반적으로 1.0.0 과 1.0.0-SNAPSHOT의 차이는 1.0.0 은 로컬 repository 에 있으면 그 라이브러리를 바라보는데 snapshot 은 항상 로컬 말고 원격 repository를 바라보게 된다. 필요이유 데이터 분석, 데이터 보호 및 데이터 복제와 같은 작업을 위해 수행.. 2023. 6.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