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T/Knowledge272 cassandra란? Apache Cassandra는 확장성이 뛰어난 오픈소스 NoSQL 데이터베이스이다. 여러 데이터 센터 및 클라우드에서 대량의 정형, 반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 적합 최대한의 유연성과 빠른 응답 시간을 위해 설계된 강력한 동적 데이터 모델과 함께 단일 장애 지점없이 많은 상용 서버에서 지속적인 가용성, 선형 확장성 및 운영 단순성을 제공 Cassandra 동작 원리 Cassandra의 확장형 아키텍처는 초당 페타 바이트의 정보와 수천 명의 동시 사용자 / 작업을 처리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Cassandra는 분할된 행 저장소 데이터베이스이다. Cassandra의 아키텍처를 사용하면 권한이 있는 모든 사용자가 모든 데이터 센터의 모든 노드에 연결하고 CQL 언어를 사용하여 데이터에 액세스 .. 2023. 3. 4. JDBC / ODBC 차이 JDBC (Java Database Connectivity) Java에서 DB에 접근하여 데이터 조회, 삽입, 수정, 삭제를 가능케하는 것을 말한다. 다시말해 Java가 Database를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인 Java API 이다. 이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 넘겨질 SQL 형태의 데이터베이스 접근요구 문장을, 각 시스템에 맞도록 바꾸는 역할을 하고 API는 동적으로 올바른 Java 패키지를 로드하고, JDBC 드라이버 매니저에 등록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JDBC connection는 명령문을 만들고, 실행하는 것을 지원한다. JDBC란 Java에서 DataBase와 연결하여 작업하기 위해서 Java와 연동되는 DBMS(ex. M.. 2023. 2. 24. DBeaver DBeaver는 SQL 클라이언트이자 데이터베이스 관리 도구이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경우 JDBC API를 사용하여 JDBC 드라이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한다. 그 밖의 데이터베이스(NoSQL)의 경우 사유 데이터베이스 드라이버를 사용한다. 자동 완성과 구문 강조를 지원하는 편집기를 제공한다. 이클립스 플러그인 구조 기반의 플러그인 아키텍처를 제공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동작 중 상당수를 수정하여 데이터베이스에 특화된 기능이나 데이터베이스에 독립적인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자바로 작성된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이며 이클립스 플랫폼에 기반을 둔다. DBeaver는 아파치 라이선스로 배포되는 자유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이다. 라이선스 관련해서는 아래 참고 포스팅을 참고 바란다. 역사 DBea.. 2023. 2. 23. L4 스위치란?(23.02.16) L4 스위치란? Layer 4 Switch의 약자로써, L4 스위치는 로드밸런싱(서버 부하 분산)을 처리하는 장비이다. 외부에서 들어오는 모든 요청은 서버가 아닌 L4 스위치를 거쳐야 하며 모든 요청을 L4 스위치가 받아 서버들에게 적절히 나누어 준다. L4 스위치는 부하 분산뿐만 아니라 UCP, UDP, HTTP와 같은 프로토콜들의 헤더를 분석하여 그 정보를 바탕으로 부하 분산을 실시하고 거기에 더해 소스 IP 혹은 데스티네이션 IP를 NAT 하여 보낼 수 있다. NAT에 대한 내용은 아래 참고 포스팅 참고 하면 도움 될것이다. L4 스위치의 기능 L4 스위치의 서버 로드 밸런싱 기능은 서버 로드밸런싱이란 인터넷의 서버 부하 분산 기능이다. 로드밸런스는 아래 참고 포스팅에 자세히 기술 되어있다. 간단히.. 2023. 2. 17. NAT 란? 네트워크 주소 변환(Network Address Translation, 줄여서 NAT)은 IP 패킷의 TCP/UDP 포트 숫자와 소스 및 목적지의 IP 주소 등을 재기록하면서 라우터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 받는 기술을 말한다. NAT 이용 이유 사설 네트워크에 속한 여러 개의 호스트가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함 많은 네트워크 관리자들이 NAT를 편리한 기법이라고 보고 널리 사용하고 있으며, NAT가 호스트 간의 통신에 있어서 복잡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음 NAT는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고려되었으며, 주로 비공인(사설, local) 네트워크 주소를 사용하는 망에서 외부의 공인망(public, 예를 들면.. 2023. 2. 15. [Kubernetes] 쿠버네티스 레플리카셋(replicaset) 개념 CICD 를 하면서 사용하게 되는 argoCd 가 있고, 그 안에서 사용되는 쿠버네티스의 레플리카 셋 이라는 것이 있다. argoCd, 쿠버네티스 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고포스팅에서 확인할수 있다. 레플리카셋(Replicaset) 이란? 레플리카셋은 실행되는 파드 개수에 대한 가용성을 보증 하며 지정한 파드 개수만큼 항상 실행될 수 있도록 관리한다. 즉 10개의 파드를 항상 실행 하도록 설정하면 이후 파드 1개가 삭제될 경우 다시 파드 1개가 실행되어 10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리플리카셋은 아래와 같이 작성을 할수 있다. apiVersion: apps/v1 kind: ReplicaSet metadata: name: test-replicaset spec: template: metadata.. 2023. 2. 13. 도메인 포워딩이란? 도메인 포워딩을 알기 전에 아래 참고 포스팅에서 도메인에 대한 개념을 먼저 알고 오는것을 추천한다. 짧게 말하면 도메인은 일종의 사이트의 주소로서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꼭 필요한 서비스이다. com/ co.kr/ net / kr 등 도메인의 종류가 무수히 많기에 방문자 입장에서는 도메인 주소가 헷갈리 수 있다. 예를 들어, naver 주소 (naver.com) 대신 naver.kr로 입력하거나 naver.co.kr 입력하는 등 도메인 주소가 다양하다보니 다르게 입력할 수 있기에 그렇다. 아예 다른 사이트라면 문제가 없지만 같은 화면을 가리키게 해주게 하는 방법이 있다. 본 포스팅에서 소개하는 도메인 포워딩 기능을 적용하면, 고객이 'naver.com'을 입력하든, 'naver.kr'을 입력하든. 'nav.. 2023. 2. 7. netstat netstat - 네트워크 접속, 라우팅 테이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통계 정보를 보여주는 도구 사용 방법 : netstat [옵션] [| grep 포트 번호 or 서비스 명] option : -l (listen) : 연결 가능한 상태 -n (number port) : 포트 넘버 -t (tcp) : tcp -u (udp) : udp -p : 프로그램 이름 / PID -a : 모두 -i : 이더넷 카드별 정상/에러/드랍 송수신 패킷 수 확인 -r : 라우팅 테이블 -s : 네트워크 통계 2023. 2. 2. netsh 란? 네트워크 연결에서 어답터 설정으로 아이피를 수정하면 되지만 매번 아이피를 입력하기 귀찮을 때 batch 파일로 저장해서 가지고 다니면 좋다. Batch 파일을 만들기 위해서는 netsh 명령어를 사용해야 하기에 그 정보를 적어둔다. netsh interface ip set 여기까지가 기본이고 IP 셋팅은 address, DNS 셋팅은 dns 로 분기 한다. netsh interface ip set address .... 는 IP netsh interface ip set dns... 는 DNS 그 이후의 설정값을 알아보면 netsh interface ip set address [name] [type] [ip] [mask] [gateway] [name] : 제어판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네트워크 연결에 .. 2023. 2. 1.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3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