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T/Linux83 리눅스 가상화2 저번 포스팅에 이어서 가상화 설치 관련 포스팅을 작성해볼 것이다. 저번 포스팅은 아래 참고 포스팅을 보고 읽고 와야 좀더 이해가 빠를 것이다. KVM 설치를 하기 위해서는 명령어가 다음과 같다. yum install kvm 그리고 이어서 가상 장치 관리자 설치를 해야한다. yum install virt-manager 다음으로 가상 머신 생성 및 게스트 운영체제 설치를 해야한다. Xen xen 관련으로 설치를 할 경우엔 다음 명령어를 순차적으로 작성한다. yum install centos-release-xen yum install xen yum install libvirt-daemon yum install libvirt-daemon-xen 다음으로는 KVM 처럼 가상 장치 관리자 설치까지 이어서 한다. 이.. 2022. 6. 18. 리눅스 가상화 가상화란 한 컴퓨터의 물리적 시스템 자원인 cpu, memory, disk 등을 여럿으로 나누거나 다수의 컴퓨터들을 물리적 자원을 하나로 묶어서 제공하는 기술을 통칭해서 일컫는다. 즉 물리적 자원을 논리적 자원들의 형태로 표시하는 기술이다. 가상화의 기능은 공유 가장 대표적인 가상화의 기능으로 다수의 많은 가상 자원들이 하나의 동일한 물리적 자원과 연결되어 있거나 가리키는 것을 말한다. 단일화 공유와 반대되는 가상화 개념으로 가상 자원은 여러개의 물리적 자원들에 걸쳐서 만들어질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외견상 전체 용량을 증가시키고, 전체적인 관점에서 활용과 관리를 단순화 시켜줄수있다. 에뮬레이션 물리적 자원 자체에는 원래부터 존재하지 않았지만 가상 자원에는 어떤 기능들이나 특성들을 마치 처음부터 존재했던것처.. 2022. 6. 17. 리눅스 DNS 서버 예전 포스팅에서 dns 에 대해서 다룬 글이 있다. dns 에 대한 의미를 잘 모른다면 아래 참고 포스팅을 보고 오는것을 추천한다. 이런 dns는 리눅스에서 3개의 종류로 나뉜다. Primary Name Server 사용하는 도메인을 관리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구성하는 서버로 보통 Master dns라고 부른다. 도메인이 등록할 때 이 서버의 IP주소를 등록하고, 자체 도메인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게 된다. Secondary Name Server Primary name server의 zone 파일을 백업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Slave dns라고 부른다. 외부 클라이언트에서 이 서버를 2차 dns서버로 설정하면 Master dns가 다운된 상태라도 정상적으로 해당 도메인에 의해 리졸빙 정보를 제공한다. Cac.. 2022. 6. 16. 리눅스 메일 서버 메일 관련 프로토콜이 몇개 존재한다.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al) 인터넷에서 이메일을 보낼때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메일 서버간의 송수신뿐 아니라 메일 클라이언트에서 메일서버로 메일을 보낼때 사용된다. 포트번호는 25번이다. POP3(PostOffice Protocal Version 3) 서버에 도착한 메일을 클라이언트에서 직접 내려받아 읽도록 해주는 프로토콜로 110번 포트를 사용한다. POP3는 구현이 용이하고, 기존의 많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지원한다는 장점은 있으나 메일을 확인하면 서버로부터 메일을 클라이언트로 가지고 온 후 서버에서 해당 메일을 삭제한다. IMAP(Internet Mail Access Protocal) POP3 와 마찬가지로 클라이언트 사용자가 .. 2022. 6. 15. 리눅스 FTP 서버 FTP 는 File Tramsfer Protocal의 약자로 TCP/IP 프로토콜 기반으로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파일을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FTP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FTP 서버를 구축해야 하고,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계정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FTP 서버는 서버에 등록된 계정만 이용이 가능하나, 공개 소프트웨어를 공유하는 서버인 경우는 익명의 계정을 이용해서 파일을 다운로드 할수 있다.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FTP 서버 프로그램에는 Wu-ftpd, Proftpd, vsftpd 등이 있다. 이중 다루게 될 내용은 vsftpd 이며 설치는 yum install vsftpd 로 사용한다. 설정 파일은 다음 위치에 존재한다. /etc/vsftpd/vsftpd.conf 설정 파일에서 많은 .. 2022. 6. 14. 리눅스 NFS 서버 NFS 는 sun Microsystem에서 개발한 프로토콜로 TCP/IP 네트워크 상에서 다른 컴퓨터의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고 공유하여 상대방의 파일 시스템 일부를 마치 자기 자신의 디렉터리 인 것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NFS는 NIS와 더불어 RPC(Remote Procedure Call) 기반으로 작동 되므로 , 해당 서비스를 해주는 rpcbind 데몬을 먼저 실행해야한다. NFS서버의 설정은 /etc/exports 에서 설정하고 데몬은 rpcbind, nfs를 사용한다. NFS 클라이언트에서는 mount 명령을 이용하여 NFS 서버의 파일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고, 부팅할 때 마운트하여 사용하려면 /etc/fstab파일에 등록하면 된다. 관련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rpcinfo rpc 관.. 2022. 6. 13. 리눅스 SAMBA 서버 마이크로소프트와 인텔은 윈도우 시스템이 다른 시스템의 디스크나 프린터 등의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Server Message Block(SMB) 이라는 프로토콜을 개발 했는데, 삼바란 이 SMB를 이용하여 리눅스를 비롯한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와 윈도우 운영체제 간의 자료 공유 및 하드웨어를 공유할수 있게 해준다. 삼바의 설치는 다음 명령어로 가능하다. yum install samba yum install samba-common yum install samba-client 그리고 사용되는 데몬은 다음과 같다.(데몬이란 아래 참고 포스팅 참조) smbd - 파일과 프린터 공유, 사용자의 권한 부여 및 확인 등 사용자 인증 담당 nmbd - WINS(Windows Internet Name Server)를 담.. 2022. 6. 12. 리눅스에서 man 리눅스에는 다양한 명령어가 존재하지만 완벽하게 알지 못하면 사용을 제대로 못한다. 그럴때 사용할수 있는 명령어인 man 이다. man은 manual 의 약자로 특정 명령어의 manual을 보여준다. 다음 사진은 rm 명령어에 대한 man rm 을 시도한 결과이다. 그리고 키는 다음처럼 사용할수 있다. q키 - 나가기 (quit) h키 - man 사용법 확인 (help) 위, 아래 화살표키, 엔터키 - 한줄씩 넘기기 Page Up, Page Down, 스페이스바 - 한 페이지씩 넘기기 다양한 실습을 통해서 man 명령어와 익숙해진다면 효과적으로 리눅스를 사용할수 있으니 man에 대해서 공부를 하는것을 추천한다. 2022. 6. 11. 리눅스에서의 인증 리눅스 및 유닉스에서는 사용을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사용자 아이디, 패스워드를 입력해야한다. 입력된 사용자 정보는 /etc/passwd, /etc/shadow, /etc/group, /etc/gshadow 등의 파일등의 내용과 비교하여 로그인 및 쉘 권한을 부여 받는다. 하나의 서버만 운영이 된다면 상관없지만 여러개의 서버가 동시에 운용 및 운영이 된다면 각각 서버마다 계정을 하나씩 다 만들어야하는데, 이런 번거로움 때문에 네트워크 기반의 인증 서비스가 등장 하게 되었다. 쉽게 말하면 하나의 서버에서 인증을 하고 다른 나머지 서버에서는 인증서버에서 제공받은 정보로 이용할수 있는것이다. 대표적인 프로그램은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LDAP(Lightweight Dir.. 2022. 6. 10. 이전 1 ··· 3 4 5 6 7 8 9 1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