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T/Linux83 리눅스에서 프로세스 스케줄링 먼저 프로세스에 대한 개념은 아래 참고 포스팅을 확인해보고 본 포스팅을 읽어보는것을 추천한다. 리눅스에서 말하는 스케줄링이란 특정한 시간에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게 하는것으로 리눅스에서는 at 과 cron을 사용한다. 둘다 모두 데몬으로 실행 중에 있어야하고 대부분의 리눅스에서는 atd 및 crond라 하여 기본적으로 동작하고 있다. at은 주로 한번만 실행해야할때 사용을 하고 cron은 주기적으로 프로세스를 실행할때 사용한다. at 작업은 큐에 저장이 되고 저장된 작업들은 /var/spool/at 디렉터리에 파일로 저장이 된다. 명령은 기본적으로 표준 입력 장치를 통해 받으며 원하는 명령을 순차적으로 입력한 후에 ctrl+d를 누르면 해당 작업이 예약이 된다. cron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작업은 roo.. 2022. 5. 30. 리눅스 프로세스 관련 명령어 프로세스를 다루기 위해서는 리눅스에서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그 몇가지 방법을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해보려고 한다. ps process status 의 약자로 동작중인 프로세스의 상태를 출력해주는 명령이다. 다양한 명령이 있고 아래 참고포스팅에서 나오는 grep 과 결합을 하면 특정 프로세스를 보여줄수도 있다. top 실행중인 프로세스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화면에 출력해주는 명령으로 프로세스의 상태 뿐 아니라 cpu, memory, 부하 상태 등도 함께 확인이 가능하다. 일부 리눅스에서는 htop 라는 기능도 지원하는데 top을 더욱 이쁘게 보여준다. 실행상태에서 다양한 명령을 입력하여 프로세스 상태를 출력하거나 제어가 가능하다. kill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명령으로 아래 참고 포스팅에서 kill 에 대한 내.. 2022. 5. 29. 리눅스 텍스트 파일 관련 명령어 앞선 포스팅에서 파일과 디렉터리에 대한 명령어를 다뤄보았다. 이번엔 리눅스 내에서 텍스트 파일 관련하여 다뤄볼것이다. 실행파일, 설치파일 등 많은 파일들이 존재하지만 그것들 역시도 텍스트 파일에서의 코드로, 결국 스크립트 파일로 만들어진것이 대부분이라서 텍스트 파일 명령어를 따로 다뤄보게 되었다. cat concatenate 의 약자로 표준 입력으로 받는 값을 표준 출력으로 이어주는 명령으로 기본적으로는 텍스트 파일의 내용을 출력한다. 리다이렉션 기호와 함께 사용해서 파일을 생성하거나 여러개의 텍스트 파일을 합쳐주는 기능도 할수 있다. head 텍스트 파일의 첫 부분을 보여주는 명령으로 default는 첫 10줄을 출력해준다. tail head 와 반대로 아래쪽을 출력해주고 기본은 역시 10줄이다. 로그.. 2022. 5. 28. 리눅스 디렉터리 / 파일 관련 명령어 리눅스든 윈도우든 다양한 os를 사용하게 되면서 폴더, 디렉터리의 개념은 많이 사용을 해봤을것이다. 이번 포스팅은 리눅스에서 디렉터리를 관리할때 주로 사용하는 명령어들을 다뤄보려고 한다. 디렉터리 관련 pwd print working directory 의 약자이다. 현재 위치한 작업 디렉터리의 경로를 추출해준다. cd change directory 의 약자이다. 디렉터리를 이동하는 명령으로 현재 작업중인 디렉터리를 변경할때 사용한다. 상대경로를 사용해도 되고 절대경로를 사용해도 된다. 만약 이동할 디렉터리를 명시 안해주고 cd만 사용하면 사용자의 홈디렉터리로 이동을 한다. 상위 디렉터리로 가기 위해서는 .. 을 사용하고 이동을 취소하고 직전 디렉토리는 - 를 사용한다. mkdir / rmdir make .. 2022. 5. 27. 파일 링크 (link) 란? 리눅스를 사용하다보면 권한 문제든, 복사를 위해서든 파일이나 폴더에 대해서 링크 를 걸어서 다른 위치에서도 접근 가능하게 해야 할 경우가 있다. 윈도우에서는 바로가기랑도 비슷하다고 생각을 할수 있다. 리눅스에서는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생성하면 I-node라는 번호가 임의로 부여되고 이번호를 기준으로 관리가 된다. 이 번호는 ls -i를 하면 확인이 가능한데 파일명이 다르더라도 이번호가 같다면 내부적으로는 같은 파일로 인식을 한다. 이렇게 하나의 파일을 여러개의 이름으로 관리하거나 디렉터리의 접근 경로를 단축하는 형태를 링크라고 부르고 ln 명령어를 이용해서 만들수 있다. 링크는 하드 링크와 심볼릭 링크로 나뉘고 심볼릭은 하드의 반댓말인 소프트 링크라고도 부른다. 하드링크 ln명령어를 옵션 없이 실행을 하면.. 2022. 5. 26. 리눅스 운영관리 2 리눅스에서는 계정과 그룹으로 나누어서 운영 및 관리를 할수 있지만 그 외에도 특정 파일이나 폴더에 권한을 줘서 특수하게 관리를 할수가 있다. 이를 특수 권한 이라고 한다. 권한 체계는 3계층 (사용자, 그룹, 기타) 에 3가지 권한(읽기, 쓰기, 실행) 을 부여하는 형태에 이루어져있다. 하지만 딱 이 체계로는 원활하게 관리가 힘들다. 어떤 파일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root 권한이 필요한데 root 계정을 알려줄수도 없고, 다른 사용자의 폴더에서 작업을 할때도 해당 사용자 계정을 알려줄수 없는 등 다양한 상황이 생긴다. 이럴때 특수권한을 사용하게 된다. 특수권한의 종류와 간략 설명은 다음과 같다. Set-UID 보통 실행 파일에 사용되며 Set-UID가 부여된 파일을 실행시 해당 파일을 실행하는 동안에는 .. 2022. 5. 24. 리눅스 운영관리 1 리눅스에서는 셋팅하고 난 후에 운영을 하기 위해 관리하는 부분이 특히나 중요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관리에 대한 내용을 다뤄볼 것이다. 먼저 리눅스에 접근할수 있는 사용자에 대해서 먼저 얘기를 해보면 리눅스는 크게 root 사용자와 일반 사용자로 구분하고 일반 사용자는 로그인이 가능한 사용자와 로그인이 되지 않고 시스템의 필요에 의해 생성된 시스템 계정으로 나뉜다. root 사용자는 시스탬 운영에 있어서 모든 권한을 행사하므로 super user의 역할을 한다. 리눅스의 사용자 계정 정보는 /etc/passwd 파일에 기록이 되는데 이파일에 등록된 계정을 보려면 root 이외에 bin, daemon, adm, game 등 관리자가 생성하지 않는 계정들이 존재한다. 이런 계정들이 시스템 계정이라고 한다. .. 2022. 5. 23. 리눅스 네트워크 명령어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 내에서 네트워크를 다룰때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를 정리해볼 것이다. ifconfig ifconfig는 interface config 의 약자로 비슷하게 윈도우에서는 ipconfig 라는 명령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네트워크 인페이스를 설정하거나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ip주소, 넷마스크주소, mac 주소 등을 확인할수 있다. 그리고 이외에 이더넷 카드를 중지 및 작동을 할수도 있다. route 라우팅 테이블의 정보를 출력하거나 관리하는 명령이다. 네트워크 주소, 게이트웨이 주소를 확인하거나 설정할때 사용한다. netstat 네트워크의 연결 상태를 출력하는 명령이다. 네트워크 연결 상태 이외에도 라우팅 테이블 정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 멀티캐스트 멤버 등의 정보를 출력한다. ar.. 2022. 5. 22. 이더넷 / lan의 이해 컴퓨터 네트워크는 규모에 따라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으로 구성된다. LAN 랜은 구성 방식에 따라 스타, 망, 버스, 링, 트리 형 등으로 나뉘고 다음과 같다. 스타형 모든 기기는 Point to Point 방식으로 연결한다. 장점 고속의 대규모 네트워크에 이용한다. 단점 중앙에 위치한 컴퓨터가 관리를 하며 중앙제어가 고장이 나면 전체가 먹통이 된다. 회선수가 증가하면 복잡해진다. 망형 스타형과 링형의 혼합이다. 네트워크장비가 여러개의 인터페이스를 갖춘다. 장점 어느 네트워크가 고장이 나도 나머지는 문제없이 작동을 한다. 신뢰성이 높고.. 2022. 5. 21. 이전 1 ··· 5 6 7 8 9 1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