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100 디자인패턴 정의와 종류 소프트웨어 개발을 할때 사용되는 디자인 패턴이란 과거에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발견된 설계 노하우를 축적하여 그 방법에 이름이 붙여서 이후에 재사용 하기 좋은 형태로 특정 규약을 만들어서 정리해둔것을 말한다. 즉 효율적으로 알고리즘을 만들고 코드를 만들기 위한 방법론이라고 생각하면 될듯하다.특정 한두개의 패턴을 외우기 보다는 다양하게 이해를 하고 적시적소에 맞게 자신의 코드에 녹여내면 될듯 하다. 종류는 대분류로는 생성패턴, 구조패턴, 행위 패턴으로 나뉘고 몇가지만 살펴보면, 생성패턴에서는 가장 유명한 디자인패턴인 싱글톤 패턴이 있다.클래스의 인스턴스가 하나임을 보장하고 접근할수 있는 전역적인 접근점을 제공한다.그리고 또다른 유명한 패턴은 추상팩토리 패턴이다.구체적인 클래스를 지정하지 않고 관련이 있거.. 2022. 1. 14. What is the kubernetes? 도커를 다룬 포스팅이 있다. 이 포스팅을 읽고 온다면 해당 포스팅을 읽는데 더욱 도움이 될것이다. https://thenicesj.tistory.com/88 Docker란? 이번 시간에는 도커를 다뤄볼 것이다. 얼마전 영상에서 saas / paas / iaas 를 다뤘는데 이와 비슷하면서도 다른 내용의 도커이니 좀더 알고 싶다면 아래 포스팅을 보고 오는것을 추천드린다. https://t thenicesj.tistory.com 쿠버네티스란 무엇인가.? 도커, 컨테이너 이름을 들어보신분들이라면 분명 쿠버네티스 관련해서도 들어봤을것이다.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의 인프라에 대해 네트워크, 스토리지, 보안, 등 통합하여 컨테이너 에게 제공을 하고 그 컨테이너들의 버전 관리와, 업데이트 등 작업을 할때 모든 컨테이너.. 2022. 1. 13. Docker란? 이번 시간에는 도커를 다뤄볼 것이다. 얼마전 영상에서 saas / paas / iaas 를 다뤘는데 이와 비슷하면서도 다른 내용의 도커이니 좀더 알고 싶다면 아래 포스팅을 보고 오는것을 추천드린다. https://thenicesj.tistory.com/85 Saas / Paas / Iaas 의 의미 및 설명 서버를 다뤄보신 분들이나 클라우드에 접속해서 서버를 구축해본 경험이 있다면 이 단어들을 보았을것이다. 나도 로컬 서버를 많이 다루다 보니 자주 사용하진 않았지만 aws/ azure등에서 클라우 thenicesj.tistory.com 바로 위 블로그에서 해당 그림이 있었는데, 도커는 여기서 os바로 위에 위치한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파란색 동그라미 위치에 도커의 단위인 컨테이너가 존재한다. 그럼 도커는.. 2022. 1. 12. JUnit 이란? / 사용법 JUnit이라고 쓰고 단위테스트라고 저는 읽는데요. 혹시 알고 계신가요? 이클립스를 사용하시는 분들이라면 많이 보셨을것 같은데 (사실 intelliJ는 제가 사용을 안해봐서 모릅니다 ㅠㅠ) 간단하게 정의를 내리면 JUnit이란. '자바용 단위 테스트 도구' 라고 이해하면 될것 같다. 사용을 하기 위해서는 library를 추가 해야한다. 프로젝트 우클릭 > properties 다음은 junit을 클릭해준다. 이렇게 next를 하면 설치가 끝난다. 프로젝트로 돌아와서 클래스를 하나 만들고 코드를 아래와 같이 작성 public class test{ @Test public void testcode(){ int a=1; int b=2; System.out.println(a+b); } } 프로젝트 우클릭 > run.. 2022. 1. 11. Multi-Tenancy 란? 바로 직전 포스팅에 saas에 대해서 다루었다. https://thenicesj.tistory.com/85 Saas / Paas / Iaas 의 의미 및 설명 서버를 다뤄보신 분들이나 클라우드에 접속해서 서버를 구축해본 경험이 있다면 이 단어들을 보았을것이다. 나도 로컬 서버를 많이 다루다 보니 자주 사용하진 않았지만 aws/ azure등에서 클라우 thenicesj.tistory.com 포스팅을 작성하다 보니 multi tenancy 개념과 설명에 대해서도 다루면 좋을것 같다라는 생각이 들어 이어서 글을 남긴다. 의미를 말해주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의 단일 인스턴스가 여러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키텍쳐' 를 multi tenancy 라고 한다. 전 포스팅을 보신분들이라면 이해를 하겠지만. 소프.. 2022. 1. 10. Saas / Paas / Iaas 의 의미 및 설명 서버를 다뤄보신 분들이나 클라우드에 접속해서 서버를 구축해본 경험이 있다면 이 단어들을 보았을것이다. 나도 로컬 서버를 많이 다루다 보니 자주 사용하진 않았지만 aws/ azure등에서 클라우드 서버를 다루다 보니 자연스럽게 이 단어들과 친해졌다. 먼저 단어 의미를 먼저 파악해보자. Saas > Software as a Service Paas > Platform as a Service Iaas > Infra as a Service 의 약자이다. 한글 풀이를 해서 알려주자며 서비스를 제공할때 소프트웨어인지, 플랫폼인지, 인프라인지 셋중에 하나를 제공? 하는 개념이다. 로컬서버를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3가지로 나뉠수가 있다. 먼저 서버를 구매하여 설치하기 위해서 레이드 구성, 네트워크 설정, 가상화 환경등을.. 2022. 1. 9. Spring / SpringBoot 차이점 이름도 비슷하면서 뭔가 같으면서도 다른 이둘. 차이점을 알아보도록 하자. 일단 스프링이란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의 대표적인 프레임워크중 하나로 프레임워크는 아래 포스팅을 참조하자. 스프링 특징 의존성주입(DI) 제어의 역전(IOC) 관점지향(AOP) 스프링 대표 모듈 spring JDBC MVC AOP ORM Test 이 둘의 비교에는 많은 포스팅들이 있겠지만 간단하게 요점만 잡도록 해보자. 이렇게 많은 기능들이 있어서 환경설정 잡기부터 시작해서 설치해야할것들이 스프링에는 많이 존재한다. 그것들을 해결해주기 위해 spring boot라는 친구가 등장하였다. Spring boot 특징 대표적으로 was사용을 위한 톰캣 설치 및 설정을 자동 starter 를 통해서 dependency 자동화(이 부분은 버전관.. 2022. 1. 8. 그림,사진,이미지 파일 확장자 변경 사이트 작업을 하거나 일을 하거나 각종 사이트에 사진을 올리다보면 지원해주는 확장자에 따라서 이미지를 올리고 못올리는 경우가 생긴다. 그럴 때 사용할수있는 웹사이트이다. https://convertio.co/kr/ Convertio — 파일 변환기 300가지 이상의 포맷 지원 저희는 300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파일 포맷 간의 25600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변환을 지원합니다. 다른 어떤 변환기보다 많은 수입니다. 신속 및 간단 페이지에 간단히 convertio.co 웹기반이다보니 따로 설치할것도 없고 그냥 있는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2022. 1. 7. centos의 변화(centos 지원종료 / centos stream) 리눅스를 사용해보신 분들이라면 아마 데비안 계열의 ubuntu 나 레드햇 계열의 centos를 많이 사용해보았을것이다. 가장 상용화가 되어있고 라이선스 부분이나 배포와 문제 해결 등에서도 많은 정보가 인터넷에 가장 많기 때문이다. 라이선스 관련은 아래에 참고 포스팅 링크를 참고하도록 한다. 근데 ubuntu 는 꾸준히 LTS 버전이 잘 나오는데 centos 는 지원을 종료하고 stream으로 넘어간다는 글을 보게 되었다. 많은 기업에서 이 일을 계기로 갈아타느니 뭘로 바꿔야하는지 에 대한 얘기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고 한다. 개인적인 생각은 록키를 사용하는것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생각은 하나 서비스용과 개발용으로 나눠서 리눅스를 사용해도 되고...(어디까지나 저의 생각입니다!) centos stream이 나.. 2022. 1. 6. 이전 1 ··· 112 113 114 115 116 117 118 ··· 12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