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T/Knowledge272

vpn이란? 코로나 때문에라도 요즘은 재택 원격 근무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인데, 그러면서 문제가 되고 있는것이 사내 망 접속이다. 대부분의 회사들이 보안상의 이유부터 시작해서 다양한 이유로 사내 내부 네트워크를 사용하는데 그 네트워크가 외부에서는 접속이 안된다. 이럴 경우 사용하는것이 vpn이다. it를 잘 모르는 사람이 vpn을 안다면 ip 우회 정도로만으로 알고 있을텐데 ip는 맞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니다. 가설 사설망의 약자인 vpn은 virtual private network의 약자이다. 위에서 말한 사내 내부망이 private network 이며 회사 컴퓨터는 direct로 랜선으로 묶여있지만 외부 컴퓨터는 통신을 통해서 가상의 사내 망에 붙게 된다. 그러면서 내부 피시에 있는 피시와 원격접속을 하든 데이터.. 2022. 4. 5.
폭포수(WATERFALL) / 애자일(AGILE) 이번 포스팅에서는 방법론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할것이다. 방법론이란 진리를 얻기 위한 방법을 고찰하는 철학적 의미이다. 개발에서 말하는 방법론이란 말그대로 개발하는 방식, 방법을 어떻게 할것인지를 말한다. 크게 폭포수 방법론과 애자일 방법론 두가지로 나뉜다. 폭포수 방법론 (Waterfall) 폭포가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듯이 폭포수 방법론 역시 개발단계가 위에어 아래로 떨어지듯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순서는 다음과 같다. Requirememts Design Implememtation Verification Maintenance 요구사항 분석 > 설계 > 구현 > 검증 > 유지보수 순서이다.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장점 수직적으로 진행되기에 각 과정에 대한 이해가 편하고 쉽다. 단점 수직적으로 진행되기때문.. 2022. 4. 4.
트러블 슈팅(Trouble Shooting) 이란? 리눅스 서버를 공부하면서 많이 접한 단어이자 IT인력이라면 알고있어야할 단어인 트러블슈팅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것이다. 사전적의미로는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문제들을 종합적으로 진단해 처리 한다는 뜻이다. 트러블 슈팅의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자. 문제 정의 사실 수집 원인 추론 조치 및 방안 검토 결과관찰 (만약 문제가 다시발생한다면 4번으로 다시) 이런 순서로 4-6번은 해결 될때까지 루프를 돈다. 트러블 슈팅한다라고 하면 시스템을 점검중이다라고 생각을 하면 이해하기 쉽다. 즉 시스템이나 장치 등에서 발생한 장애를 각종 수법을 활용하여 원인을 찾아내는 과정이자 행위 를 트러블 슈팅이라고 한다. 2022. 4. 3.
랜섬웨어에 대해서. 인터넷이나 뉴스 등 기사에서 랜섬웨어에 대한 기사를 본적이 있는가. 많은 이들이 단어는 들어봤을텐데 정확한 의미는 모르고 사용하고 있는것 같아서 포스팅 주제로 다루게 되었다. 랜섬웨어는 몸값을 뜻하는 Ransom과 악성코드의 의미인 Malware의 합성어 이며 말 그대로 악성코드를 심어서 몸값을 요구하는것이다. 그말은 즉 어린 아이를 유괴, 납치 하여 몸값의 돈을 받게 되는것인데 해커가 해당 컴퓨터에 잠입하여 각종 파일들이나 시스템에 잠금을 걸어버리고 파일을 하나 남긴다. 거기엔 협박의 편지가 들어가 있다. 개인컴퓨터에는 잘 잠입이 없긴하고 회사 단위로 중요한 문서들을 암호화 하여 협박을 하며 돈을 요구하는 해킹의 수법중 하나이다. 그럼 어떻게 컴퓨터에 잠입을 하느냐, 영화나 드라마에서 보았을수도 있지만.. 2022. 3. 30.
DNS란? DNS는 DomainNameSystem 의 약자이다. 이것이 무슨뜻인지를 이번 포스팅에서 다뤄볼 것이다. 일단 시작하기 앞서 IT를 아시는 분이라면 다양한 의미의 도메인이라는게 있다는것을 알것이다. 예를들어 소프트웨어 공학에서는 요구사항, 전문용어, 컴퓨터프로그래밍 분야에서 문제를 풀기위해 설계된 어떤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대한 기능성을 정의하는 연구의 한 영역이라는 의미를 갖기도 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릴레이션에 포함된 각 속성들이 가질수 있는 값들의 집합을 의미하며 통신쪽에서는 www.tistory.com 에서 tistory.com 이라는것도 도메인이라고 한다. 그밖에도 언어 뜻으로는 많은 의미가 있지만 오늘 다뤄볼 도메인은 통신쪽에서 말하는 도메인에 대해서 설명해볼것이다. 우선 DNS가 필요한 이.. 2022. 3. 29.
IP주소에 대해서 IP란 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 상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주소를 말하는 것이다. 컴퓨터의 주소가 아닌 네트워크의 주소라고 생각을 하면 쉽다. 그럼 그말은 네트워크가 연결된 모든것은 전부 ip주소가 존재한다는 말인데 그렇다. 지금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 노트북 뿐 아니라 서버, 핸드폰, 아이패드, 그리고 만약 lte스마트 워치를 사용한다면 그것 역시도 하나의 주소가 된다. 홈네트워크라고 하면 가정에 있는 모든 장비들이 공유기를 통해서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여있는것인데, 내부적으로는 각각 하나의 아이피를 갖지만 결국 밖에서 봤을땐 그 집으로 들어가는 하나의 IP인것이다. 그집으로 들어가는 하나의 IP 역시 아파트기준으로는 아파트로 보면 각각 하나씩이지만 외부로 봤을땐 크게 하나의 IP인것.. 2022. 3. 27.
인코딩이란?(ascii, unicode, utf-8) 개발자들은 개발을 하다보면 한글 출력부분에 있어서, 혹은 엑셀파일을 메모장에서 열거나 반대로 메모장을 엑셀에서 열거나 하면 한글이 깨지는 경험을 해본적이 있을것이다. 우선컴퓨터는 0과 1을 가지고 binary값으로 데이터와 정보를 읽고 쓴다. 숫자는 가능하지만 문자는 숫자로 나타나기엔 한계가 있기에 문자에도 특정 번호를 매긴다. 예를들어 A=65, B=66... 그리고 소문자역시 a=97부터 사용을 하고 이것을 ascii 코드라고 한다. 이 숫자는 십진법에서 이진법으로 변환을 하여 예를 들어 A, 65 = 1000001 로 표시가 될수 있다. 자세한것은 아래 표를 참고하자. 사람이 문자를 입력하면 컴퓨터는 2진법으로 저장하고 보여줄때 다시 문자로 변환해서 알려주게 된다. 여기서 문자를 입력한것을 2진법.. 2022. 3. 26.
재귀 함수란? (recursive function) 재귀 함수는 말그대로 자기 함수를 호출하는것을 의미한다. 이해하기 쉽도록 코드로 설명을 해보면 function recursive(variable) { ... ... if(조건 충족){ return result; } else{ return recursive(value); } } 이런식으로 while 문처럼 무한 반복이 아닌 종료 조건이 있는 전제 하에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함수이다. 대표적으로 재귀함수로는 하노이 탑이 있다. 하노이 탑은 타워 1에서 타워 3으로 그대로 탑을 옮기면 되는데 단 조건이다. 작은판 위에 큰판을 올릴수가 없는것이고 한번에 하나씩만 옮길수가 있다. 직접적으로 만들어서 해봐도 좋고 머리로 생각을 해봐도 좋은데 결국엔 하는 행동이 반복적이게 된다. 결론은 가장 아래있는 판은 목적지로 .. 2022. 3. 25.
동기 / 비동기 프로그래밍 자바스크립트를 다뤄본 사람은 비동기 프로그래밍이라고 들어본적이 있을것이다. 사전적 의미를 먼저 보자면 동기적(synchronous) 어떤 일이나 행동을 일으키게 하는 계기가 되는. 또는 그런 것. 비동기적(asynchronously) 사전적 의미가 안나오지만 동기적의 반대라면 인과 관계가 없는 . 이라는 뜻이다. 결국 동기적은 a가 일어나고 b가 일어나고 c가 일어나고, 즉 순서가 있으며 비동기적은 순서가 없다. 프로그래밍을 짤때는 await, async 등의 코드를 넣어주면서 비동기식에서 동기식으로 코드를 짜곤한다. 예를들어 웹페이지를 띄우고 첫번째 버튼을 찾아라 라는 코드를 구현하였는데 웹페이지가 띄어지기 전에 첫번째버튼을 찾아라 라는 코드가 실행이 되면 not found/ nosearch에러 등이 .. 2022. 3. 24.
반응형